본문 바로가기
  • 빛의 장막을 걷어내면, 비로소 심우주의 모습이 드러난다.
  • 與一利不若除一害, 生一事不若滅一事
동양철학/老子別義(上)

老子別義(上)_27장_是謂要妙.(시위요묘)

by 靑野(청야) 2013. 10. 2.

 

 <아름다운 말은 사람의 존경을 받을 수 있고(美言可以市尊)
아름다운 행동을 하면 남보다 뛰어나게 될 수 있다 (美行可以加人)> 
<도덕경 통행본 62장으로 美行可以市, 尊行可以加人으로 되어 있는 것을
 청대고증학자들이 위와같이 고쳤다고 한다>


[도덕경 27장]

善行(선행), 無徹迹(무철적), 진실로 잘 가는 행보는 자국을 남기지 않고,
善言(선언), 無瑕讁(무하적), 진실로 잘 한 말에는 탓할만한 허물을 남기는 법이 없다.
善數(선수), 不用籌策(불용주책), 진실로 잘한 셈은 이해타산을 생각하지 않는다.
善閉(선폐), 無關楗而不可開(무관건이불가개), 진실로 잘 닫혀진 문은 빗장이 없어도 열리지 않는다.
善結(선결), 無繩約而不可解(무승약이불가해), 진실로 잘 묶으면, 매듭이 없어도 풀리지 않는다.
是以聖人(시이성인), 그러므로 성인은,
常善救人(상선구인), 한결같이 어려운 고비의 사람을 잘 도와주고,
故無棄人(고무가인), 쓸모없는 사람으로 버림받지 않게 한다.
常善救物(상선구물), 한결같이 물건을 아끼고 사용하여,
故無棄物(고무기물), 쓸모없는 폐기물을 만들지 않는다.
是謂襲明)(시위습명), 이를 일러, 두루 넓게 밝게함이라 한다.
故善人者(고선인자), 그러므로 善人은
不善人之師(불선인지사), 不善人의 스승이요.
不善人者(불선인자), 不善人는.
善人之資(선인지자), 善人의 바탕이 된다.
不貴其師(불귀기사), 그 스승인 善人을 귀하게 여기지 않거나.
不愛其資(불애기자), 그 바탕인 不善人를 사랑하지 않으면,
雖智大迷(수지대미), 비록 지헤롭다고 하나 크게 미혹하다 할 것이니,
是謂要妙(시위요묘). 이를 일러 헤아릴 수 없이 묘하다 하는 것이다

 

주) *徹 : 통할 철-> 통하다, 관통하다, 꿰뚫다, 뚫다, 벗다, 다스리다,버리다.
     *迹 : 자취 적-> 자취, 발자취, 업적, 공적, 행적, 관습, 선례, 길, 정도.
     *瑕 : 허물 하->허물, 티, 옥의 티, 틈, 멀다, 어찌
     *讁 : 귀양갈 적-> 견책하다, 책망하다, 탓하다, 꾸짖다, 귀양가다.
     *籌 : 살 주-> 투호살, 꾀, 산(算)가지, 수효를 셈하는 데에 쓰던 막대기,
     *徹迹 : 주행자국, 흔적.
     *瑕讁 : (탓할 만한 )허물.
     *籌策 : 이해(利害)를 타산한 끝에 생각한 꾀.
     *關 : 관계할 관, 당길 완-> 관계하다, 닫다,가두다, 빗장, (시위를)당기다.
     *楗 : 문빗장 건->문빗장, 방죽, 말뚝, 막다, 차단하다.
     *繩 : 노끈 승-> 노끈, 줄, 바로잡다, 통제하다.
     *約 : 맺을 약-> 맺다, 약속하다, 묶다, 다발 짓다 .
     *襲 : 엄습할 습 ->엄습하다, 뜻하지 아니하는 사이에 습격하다, 치다, 망라하다.
     *襲明 : 밝음을 망라하다. 두루 밝게한다,
     *雖 : 비록 수, 짐승이름 유 -> 비록, 아무리 ~하여도 ,그러나, 벌레 이름, 밀다,
     *要妙 :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묘하다.

[진실로 잘 가는 수레는 바퀴자국을 남기지 않고, 진실로 잘 한 말에는 탓할만한 허물을 남기는 법이 없다. 진실로 잘한 셈은 이해타산을 생각하지 않는 것이며. 진실로 잘 닫혀진 문은 빗장을 걸어 잠그지 않아도 열리지 않고, 진실로 잘 묶으면 매듭이 없어도 풀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성인은, 한결같이 어려운 고비의 사람을 잘 도와주고, 쓸모없는 사람으로 버림받지 않게 한다. 한결같이 물건을 아끼고 사용하여, 쓸모없는 폐기물을 만들지 않는다. 이를 일러, 두루 넓게 밝게 함(습명:襲明)이라 한다.

그러므로 善人은 不善人의 스승이요. 不善人은 善人의 바탕이 된다. 不善人은 자신의 스승인 善人을 귀하게 여기지 않거나, 善人이 자신의 바탕인 不善人을 아끼고 사랑하지 않으면, 비록 지혜롭다고 하나 크게 미혹하다 할 것이니, 이를 일러 헤아릴 수 없이 묘하다는 것이다 ]


도덕경에서는 善, 또는 不善이 자주 등장한다, 善은 '무위자연의 도리에 충실한 것' 혹은 도를 깨달음, , 爲無爲를 행하는 것를 통칭하여 이르는 것이고, 不善은 善의 반대인 '惡' 이 아니라, '아직 善에 이르지 못한 수준이나 상태, 도를 딲는 과정, 즉, 無爲하지 않는 것, 有義한 것'을 통칭한다. 여기에는 사람도, 사람의 행동도, 사물도 사물의 작용도 해당된다.

사람에 적용하면, 善人 또는 善人者, 不善人 또는 不善人者가 되고, 사물이나 행동 또는 작용에 적용하면, 善物(선물), 善行(선행), 善言(선언), 善數(선수), 善閉(선폐), 善結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善' 의 해석은 '진실로 잘~' 이라 하였고, 더욱 상세하게는 '무위자연의 도리에 기반한~' 또는 '무위자연의 도리에 따라 행하는  ~' 의 뜻이라 할 것이다. '善' 이 단어 앞에 와서 뒷단어를 형용하던, 형용사의 뒤에 와서 꾸밈을 받던, 그 뜻은 이와같은 의미이다. '上善若水'의 예에서 보듯이, 上善이란 최상의 善, 즉, 가장 무위자연의 도리에 충실한 것은 물과 같다'는 뜻인 것이다.
 본 장 역시 도덕경다운 글귀이라 할 것이다.

<왕필본>
善行, 無徹迹, 善言, 無瑕讁, 善數, 不用籌策, 善閉, 無關楗而不可開, 善結, 無繩約而不可解, 是以聖人常善救人, 故無棄人, 常善救物, 故無棄物, 是謂襲明, 故善人者, 不善人之師, 不善人者, 善人之資, 不貴其師, 不愛其資, 雖智大迷, 是謂要妙.

<백서본>
善行, 轍跡, 善言, 无瑕謫; 善, 无以籌策. 善閉, 无關而不可啓也, 善結, 无繩約而不可解. 是以聖人, 善救人, 而无棄人, 物无棄材. 是謂襲明. 故善人, 不善人之師; 不善人, 善人之資. 不貴其師, 不愛其資, 雖智大迷, 是謂妙要.

주) * 籥 : 피리 약->피리, 열쇠, 쇠 채우다,
     * 啓 : 열 개->열다, 열리다, 일깨워주다, 여쭈다, 보도하다
     * 轍 : 바퀴자국 철-> 바퀴 자국, 궤도, 차도, 흔적, 노선
     * 轍跡 : 수레바퀴 자국

본장도 앞의 26장과 마찬가지로 초간본에 없는 장이다. 그리고, 왕필본과 백서본은 몇가지 단어에서 미미한 차이를 보일 뿐이다. 이를 테면, 왕필본의 '徹迹(철적)' 즉 '흔적' 대신, 백서본에서는 '轍跡(철적)' 즉 '수레바퀴 자국'을 썼는데, 뜻은 비슷하지만, 좀 더 뜻을 구체적으로 썼다. 왕필본에서 보다 일반화한 용어로 바꾸었는 지, 오자인지는 알 수 없다. 또, 백서본에서 쓴, 關籥(관약)은 피리처럼 생긴 긴 쇠자물통을 말한다고 한다, 이는 왕필본의 關楗(관건)은 나무 빗장으로, 의미하는 바는 대동소이하다고 할 것이다.

그래서, 聖人은 진실로 잘 가는 수레는 바퀴자국을 남기지 않고, 진실로 잘 한 말에는 탓할만한 허물을 남기지 않는 법을 꽤뚫어 보고 있다. 또, 성인은 진실로 잘한 셈은 이해타산을 생각하지 않으며, 진실로 잘 닫혀진 문은 빗장을 걸어 잠그지 않아도 열리지 않고, 진실로 잘 묶으면 매듭이 없어도 풀리지 않는 도리를 안다.

그러므로 聖人은, 한결같이 어려운 고비의 사람을 잘 도와, 쓸모없는 사람으로 버림받지 않도록, 모든 사람이 쓸모있는 사람으로 거듭나도록 하며, 한결같이 물건을 아끼고 사용하여, 쓸모없는 폐기물을 만들지 않고, 항상 쓸모있는 물건이 되도록 하니, 이를 일러, 두루 넓게 밝게 함(襲明)이라 한다.

즉 사람이 선하고, 악하고, 물건이나 용도가 있고, 없고를 이분법적으로 보지 않는 다는 것이다. 사람이나 사물의 현재상태나 수준은 성인의 가르침 즉 도를 딲음에 따라 바뀔 수가 있는 것이며, 선과 불선, 쓸모와 쓸모가 없음은 도덕경 2장에서 말하는, 서로가 있음으로 생기는 有無相生의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聖人의 처신을 따라, 무위자연의 도리를 실천하는 자(善人者)는 그렇지 않는 자(不善人者)의 스승이요. 무위자연의 도리를 실천하지 않는 자(不善人者)는 무위자연의 도리를 실천하는 자(善人者)의 바탕이 된다. 무위자연의 도리를 실천하지 않는 자(不善人者)가 그 스승인 무위자연의 도리를 실천하는 자(善人者)을 귀하게 여기지 않거나, 무위자연의 도리를 실천하는 자(善人者)가 그 바탕인 무위자연의 도리를 실천하지 않는 자 (不善人者)를 사랑하지 않으면, 비록 지혜롭다고 하나 크게 미혹하다 할 것이니, 이를 일러 헤아릴 수 없이 묘하다는 것이다.

수레가 바퀴자국을 남기지 않고 갈 수 있겠는가? 항상 탓할만한 허물을 남기지 않고 말할 수 있겠는가? 진실로 이해타산을 생각하지 않고 셈할 수 있고, 진실로 빗장을 걸지 않고 문이 열리지 않겠는가? 진실로 매듭도 없이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겠는가?

수레, 언행, 셈, 빗장, 매듭이라는 것은 외형적으로 들어나는 사물이나, 행동, 언행이나,  작용들이다. 그것들은 구체적인 형태를 띄고 백번천번이고, 보통사람들이 실천하고, 이행한다하지만, 언제나 수레가 가는 길에는 흔적을 남기게 되고, 言事(언사)에는 허물을 남기게 되고, 셈에는 이해타산이 앞서게 되고, 빗장을 걸어 잠그고, 노끈으로 매듭을 지어 칭칭 묶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爲無爲 則無不治(위무위 즉무불치)'
'함이 없이하면 다스려지지 않는 것이 없다'

도덕경 3장에 나오는 귀절이다. 본장에서 말하고자하는 것도 3장과 일맥상통한다. '대자연의 도리, '도를 깨달으면' 즉 '함이 없이 함의 이치를 깨닫으면', 하지 못할 것이 없다는 뜻이니,

그러니, 억지로, 무리하게 행할려 하지 말아라,

먼길을 가면 먼길을 가는 대로, 가까이 가면 가까이 가는 데로, 너무 무리하게 짐을 싣고, 너무 무리하게 속도를 내어 수레를 끌지 말아라. 순리대로, 자연스럽게 수레를 끈다면, 굳이 자국이 남겠는가? 비록 자국이 남는다 한들, 있다해도, 희미한 자국, 길이 패이고, 다른 사람에 불편을 주는 그런 정도의 자국은 아닐 것이다. 그러면 그것이 善이라 할 것이다.

말을 하드라도, 잘 말할려하고, 머리를 깊이 굴리고, , 아름답게, 폼나게, 애써 말할려다보면, 말꼬리가 잡히고, 허물이 생기기 마련이다. 多言數窮(다언삭궁)이라. 그러니 솔직하고, 수준대로, 진솔하게 있는 그대로 소박하게고, 질박하게 말하다 보면 비록 어늘할지는 모르지만, 말로서 생기는 허물이 없게 될 것이다.

또, 셈을 하더라도 너무 주판알을 굴러, 이해타산을 따지는 계산은 잘한 계산이 아닌 것이다. 손해보는 듯, 어리숙한 듯 한 셈, 자연으로부터 무한히 받고 있음이니, 굳이 받아서 챙길 필요가 없는 무위한 삶에, 주는 것만 생각하는 셈이라면 이해타산이 개입할 여지가 있겠는가?

우리가 무엇때문에 빗장을 걸어 잠그고, 매듭으로 꽁꽁 묶어야 하는가? 우리가 누리고 있는 환경, 富라해도 되고, 권력이라 해도 좋고, 행복이라 해도 좋은 데, 이것들이 도둑이 들고, 세월이 흐르면서, 아무리 지키려 한다 한들, 영원히 지켜지겠는가? 또 우리에게 환난이나. 어려움이 닥치지 못하도록 빗장을 잠근다한들, 그 빗장이나 매듭이, 인위적으로 아무리 철저하고 완벽한들, 영원히 지켜지고, 풀어지지 않겠는가?

'無所有'

비유컨데, 애초부터, 가진 것이 없었으면 빗장을 걸어둘 일도 없을 것이고, 도둑맞을 일도 없을 것이다. 하지만, '無所有'의 행위가 '無爲'하지 않고, '有義' 하다면, 그 또한 '善'이 아닌 것이다.

'善~' 즉, '무위자연의 도리에 기반한~' 또는 '무위자연의 도리에 따라 행한 ~' 所有나 無所有라면 나아가 제반 행위는 함이 없이 행하는 '爲無爲 ' 이기 때문에, '則無不治' 즉, 다스려지지 않는 것이 없다'하는 것이다.

성인은 한결같이 이 도리를 세상에 실천하니, 이를일러 두루 넓게 밝게 함(襲明)이라 한하는 것이고,

그러므로, 善人은 不善人의 스승이요. 不善人은 善人의 바탕이 된다. 不善人인 자신의 스승인 善人을 귀하게 여기지 않거나, 善人이 자신의 바탕인 不善人을 아끼고 사랑하지 않으면,

비록 지혜롭다고 하나 크게 미혹하다 할 것이니, 이를 일러 헤아릴 수 없이 묘하다는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