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25장]
有物混成(유물혼성), 만물이 혼돈상태로,
先天地生(선천지생) 천지보다 먼저 있었다
寂兮寥兮(적혜요혜), 형체도 소리도 없고,
獨立不改(독립불개), 모든 것에 초연하고, 변하지 않으며,
周行而不殆(주행이불태), 두루 위태함도 없으니,
可以爲天下母(가이위천하모). 가히 천하만물의 어미가 될만하다.
吾不知其名(오부지기명), 그 이름을 모르지만,
字之曰道(자지왈도), 글자로 표현하자면 '도'라 한다.
强爲之名曰大(강위지명왈대), 억지로 이름을 붙인다면, 큰 것(大)이라 할 것이다.
大曰逝(대왈서), 크다는 것은 나아간다는 것을 말한다.
逝曰遠(서왈원), 나아가는 것은 멀어진다는 것을 말한다.
遠曰反(원왈반), 멀어지는 것은, 되돌아온다는 것을 의미한다.
故道大(고도대). 그러므로 도는 크다 한다.
天大(천대), 하늘은 크다
地大(지대), 땅도 크다
王亦大(왕역대). 왕도 역시 크다
域中有四大(역중유사대), 세상에 네가지 큰 것이 있다.
而王居其一焉(이생거기일언). 왕도 그 중하나를 차지 한다.
人法地(인법지), 사람은 땅을 본받고,
地法天(지법천), 땅은 하늘을 본받고,
天法道(천법도), 하늘은 도를 본 받고,
道法自然(도법자연). 도는 자연을 본받는다.
주) * 寥 : 쓸쓸할 요->쓸쓸하다, 적막하다,휑하다, 텅 비다, 공허하다, 넓다.
* 逝 : 갈 서->가다, 지나가다, 죽다, 세상을 떠나다, 날다, 달리다,뛰다.
* 殆 : 거의 태, 위태할 태-> 거의, 대, 장차, 반드시, 마땅히, 위태하다
* 居 : 살 거, 어조사 기-> 살다, 거주하다, 있다, 차지하다, 놓여 있다.
* 法 : 법 법->법(法), 방법(方法), 불교의 진리(眞理), 모형, 꼴, 본받다
* 寂寥: 적적하고 쓸쓸함. 적막함
* 寂兮寥兮: 형체도 없고 소리도 없다.
* 周行: 주변을 둘러보다
[만물이 혼돈상태로, 천지보다 먼저 있었다. 형체도 소리도 없고, 모든 것에 초연하고, 변하지 않으며, 두루 위태함도 없으니, 가히 천하만물, 세상의 어미가 될 만하다, 그 이름을 모르지만, 글자로 표현하자면 '도'라 한다. 억지로 이름을 붙인다면, 큰 것(大)이라 할 것이다.
크다는 것은 한없이 나아간다는 것을 말한다. 한없이 나아가는 것은 한없이 멀어진다는 것을 말한다. 한없이 멀어지는 것은, 어느 싯점에서 되돌아온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道는 크다고 말한다. 하늘은 크다. 땅도 크다. 왕도 역시 크다. 세상에 네가지 큰 것이 있다. 왕도 그 중하나를 차지 한다. 그러니, 사람은 땅을 본받고, 땅은 하늘을 본받고, 하늘은 도를 본받고, 도는 자연을 본받는다.]
'태초이전, 태초, 태초의 시작' 에 대해 노자, 장자, 공자, 석가의 생각은 어떠하였을까? 현대물리학은 어떻게 설명하는가, 이들간의 관계는 어떤 공통관점이 있고,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이것은 본인이 평생에 관심을 쏟아온 화두라 해도 과언아니다. 정말 부질없는 화두임을 알면서도 화두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는 것이, 꼴초가 손에서 담배를 놓지 못하듯이 하는 것이다.
우주 총 에너지 0 상태인 137억년전 최초의 순간인 플랑크 시간 6.4 x 10의 -44승초에 우주반경이 플랑크 길이 1.6x 10의 -35승 미터였다는 것이다. 이 상태는 이른바 '무', '진공', '허', 태허' 상태에 다름아니다. 그 후 우주가 급속 팽창하여, 약 137억년의 시간이 흐른 후가 오늘날의 모습이다.
또, 호킹은 2010년 작 「위대한 설계]에서, 양자이론으로,
태초이전에 여러 우주들이 있었다. 우리는 '無'에서 탄생했다. 빛도 물질도 시간이나 공간조차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 한 점의 세계가 지금으로부터 약 137억년전, '無' 즉, 진공상태에서 '양자요동' 으로 한점의 우주가 태어 났다. '無中生有' 한 것이다. 태초가 시작된 것이다. 이것이 대폭발(빅뱅)을 거치면서, 우리 우주의 하늘과 땅, 시간과 공간, 빛, 물질이 생겨났다. 만물이 생겨났다'는 것이다.
주) * 플랑크 길이: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공간이 더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는 크기. 양자요동이
일어나 는 범위이하의 길이
* 플랑크 시간: 플랑크 길이를 빛이 지나가는 시간.
* 양자 동요, 양자요동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로부터 일어나는, 우주의 한
에서 에너지의 양의 일시적 변화
<상기 주)에 대한 더 상세설명은, 아인시타인의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에너지보존의 법칙,엔트로
피개념,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등의 이해바탕으로 설명되어야 하는 고도의 전문영역으로,
스티븐 호킹의 [위대한 설계]나, 레너드 서스킨드의 [우주풍경]등에 일반인 독자을 위해(?) 비교
적 자세히 설명이 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 분야 비전문가가 옮겨서 표현하기 쉽지 않다
有物混成(유물혼성), 先天地生(선천지생). 寂兮寥兮(적혜요헤), 獨立不改(독립불개). 周行而不殆(주행이불태), 可以爲天下母(가이위천하모). 吾不知其名(오불지기명), 字之曰道(자지왈도), 强爲之名曰大(강위지명왈대).
<백서본>
有狀混成(유상혼성), 先天地生(선천지생). 寂寥(적요), 獨立不改(돋길불개). 可以爲天下母(가이위천하모). 未知其名(미지기명), 字之曰道(자지왈도). 吾强爲之名曰大(오강위지명왈대)
<초간본>
又 [爿首] 狀蟲成(유상곤성), 先天地生(선천지생). 寂穆(적목) 獨立不改(독립불개) 可以爲天下母(가이위천하모). 未知其名(미지기명), 字之曰道(자지왈도). 吾强爲之名曰大(오강위지명왈대)
주) * [爿首]는 현대 한자에 없다. 狀의 이체자로 본다(최재목의 초간노자)
* 蟲은 昆蟲의 昆의 이체자
* 곤성: 함께 이루어져 있다
* 寂穆:고요하고 깊다->寂寥(적요)->寂兮寥兮(적혜요헤)
* 초간본의 글자중 활자가 없는 부분은 백서본의 활자르 따랐음. 초간본의 글자는 백서본의 이체자로 판단
혼동의 질과 개념은 틀리겠지만, 노자의 사유 역시, 태초를 혼동 상태로 있었다고 보는 것이다. , 즉, 하늘과 땅이 생기기 전에 즉, 하늘과 땅이 분화되기전부터 혼돈된 상태가 있었다는 것이다. 그 상태는 형태도 소리도 없는 적막의 상태로, 모든 것에 초연, 獨立적이며, 그것을 변화시킬 수 없는 것으로, 근본적인 것으로 보았다. 근본적이며, 세상만물의 태어날 수 있도록, 위험하지 않고 안정되어 있었으니, 세상을 태어나게 한 어미와 같은 역활을 한 것이다.
그런 상태 즉, 그 어미로 부터, 마침내 세상이 태어 났다. 태초전, 세상만물이 혼돈상태로 부터 태초가 시작된 것이다. 즉, 천지가 분화되고 만물이 생겨난 것이다. 세상을 태어나게 한 그 어미, 즉 태초생성 원리는 이름을 모르지만, 굳이 글자로 표현하자면 '道'라 할 것이다. 억지로 이름을 붙인다면, '큰 것'이라 한 것이다.
大曰逝(대왈서), 逝曰遠(서왈원), 遠曰反(원일반). 故道大(고도대). 天大(천대), 地大(지대), 王亦大(왕역대), 域中有四大(역중유사대), 而王居其一焉(이왕거기일언). 人法地(인법지), 地法天(지법천), 天法道(천법도), 道法自然(도법자연).
<백서본>
大曰逝(대왈서), 逝曰遠(서왈원), 遠曰反(원일반). 天大(천대), 地大(지대), 道大(도대). , 王亦大(왕역대), 囿中有四大(역중유사대), 王居一安 (왕거일안). 人法地(인법지), 地法天(지법천), 天法道(천법도), 道法自然(도법자연).
<초간본>
大曰逝(대왈서), 逝曰遠(서왈원), 遠曰反(원일반). 天大(천대), 地大(지대), 道大(도대). , 王亦大(왕역대), 國中有四大焉(역중유사대언), 王處一安 (왕처일안). 人法地(인법지), 地法天(지법천), 天法道(천법도), 道法自然(도법자연).
주) *囿 : 동산 유->동산, 담, 구역(區域), 영토(領土),왕필본의 域, 초간본의 國과 같은 의
미
*초간본의 글자중 활자가 없는 부분은 백서본의 활자르 따랐음. 초간본의 글자는 백
서본의 이체자로 판단
*백서본에, 원래 글자는 컴퓨터한자사전에 나오지 않기 때문에, 뜻이 같은 것으로 생
각되는 왕필본 글자를 그대로 적었다.
만물을 담을 수 있으려면, 커야 하고, 텅비어야 한다. 크다는 것이 무슨 말인가, 공간적으로 한없이 나아가고 멀어져 끝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끝없이 나아가서 멀어지면, 되돌아온다. 이것은 공간적으로 유한하다는 것이다. 만물을 잉태하고 낳은 만물의 어미로부터 태어난 세상 즉 우주가 크지만 유한하다는 것이다. 노자의 우주에 대한 사유는 결국 '우주는 유한할 수 밖에 없다'는 결론을 유추했다고 볼 수 있다. 우주를 낳게한 도는 말할 것도 없고, 우주 속에 담긴 하늘, 땅, 그리고 만인을 다스리는 왕도 크다. 이 네가지가 가장 큰 것이다. 왕도 그 중하나를 차지 한다.
노자가 왕을 하늘과 땅에 버금가는 비중으로 취급했다는 것은 당시 백성을 다스리는 왕의 존재가치나 무게를 그만큼 인정한 것일까? 아니면, '인류', '인간'을 대표하는 개념으로 왕이라하지 않았을까? 어떤 판본에는 '왕' 대신에 '인'으로 되어있다. 그렇다면, 세상을 구성하는 인간의 존엄성을 인정한 이른바 홍익사상의 일단인가?
그러니, 땅을 딛고 서서 살아가는 인간은 대지의 상태와 작용에 거슬러지 말고 순응해야 하고, 대지는 하늘의 조화에 순응하고 따라야 하며, 하늘의 운행은 세상만물이 있게 하는 원리인 도에 따라야 한다. 도는 자연운행과 질서,자연의 법칙, 무위자연에 따르는 것이다.
본 장에서는 '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하지만, 앞서의 글들을 살펴보면, 노자는 도의 본질은 무라고 했다.노자의 무란 아무것도 없는 공허한 상태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 2장에 나오는 有無相生 이나 11장 無中生有 에서 보듯이, 무는 유가 생겨나기 위한 바탕이고 근본이다. 무가 있어 비로소 유가 있는 것이다. 하물며, 만물을 담을 수 있으려면, 공간이 필요하다. 이 공간은 만물을 담기전에는, 만물 담아을 수 있도록, 텅비어야 한다. 이 공간에 만물을 받아드릴 때, 비로소 유가 생긴다. 이를 無有生中이라 한다. 이것이 천하만물의 어미이고, 온갖 존재를 낳게 하는 근원 이라는 하였다. 그것이 도이고 그 지극한 상태는 '무'라 하는 것이다. 즉, 道沖(도충)이라 한 것이다.
'태초이전의 무의 공간에 하늘과 땅이 분화되기 전의 혼돈상태가 정리되며,'도'라 불리는 이치에 따라 하늘과 땅이 분화되고, 만물이 생겨났다'
즉, 노자는 태초를 하늘과 땅이 분화되기전에부터 혼돈된 상태에서 천지가 분화되고 만물이 생겨났다고 했다. 천지가 분화되고 만물의 생성원리를 '도'라 한 것이다.
........
궁극의 문제에 대해서는, 나의 관점으로, 형이하학과 형이상학의 구별이 무의미해지는 예를 본 장에서 발견하게 된다.
우주 총에너지 0 의 우주는 혼돈 상태였고, 그 상태에서는 즉 무의 상태, 즉 진공상태로 그상태에서 양자요동으로 물질이 생겨났다는 현대물리학의 사유와 태초이전 혼동상태로 부터, 만물이 생겨났다는 노자의 사유관점에 유사점이 없다 하겠는가? <
호킹의 [위대한 설계], 레너드 서스킨드의 [우주풍경]에 따르면, '우주와 생명에 관한 궁극적인 질문에 대한 거의 궁극적인 대답' 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그것이 'M이론'이라는 것이다.
하나의 우주(universe)가 아니라 다중우주(multiverse)를 가정하는 초끈이론이, 우주와 생명의 기원과 존재에 대한 질문을 추구하는 인간 이성의 궁극적인 승리를 가져다줄 것이라고 예견하고, M-이론이 아인슈타인이 추구했던 [대통일이론]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
M이론이 무엇인가?.
'M이론'의 M은, 뚜렷한 정의과정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아마도, 'Mother', 'Mistery', 'Multi', 'Matrix'....의 M아닐까 추측한다.
초끈이론이란 만물의 최소 단위가 점 입자가 아니라 '진동하는 끈'이라는 물리이론으로, 입자의 성질과 자연의 기본적인 힘이 끈의 모양과 진동에 따라 결정된다고 설명한다. 여기서 끈은 더 이상의 세부구조를 갖고 있지 않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를 말한다. 자연계에는 중력, 전자기력, 약력, 강력의 4가지 힘이 존재한다. 초끈이론은 이 4가지 힘을 하나의 원리로 설명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하였다. 현재, 5개의 초끈이론과 이를 통합하는 이론이 알려져 있다.
본인이 일찌기 건방시럽게, 인간의 등급을 7등급, 8등급,9.1~9.9등, 10(온),11등급으로 구분한 '인간의 등급'이란 글을 동기 홈페이지에 올린 생각이 난다. 잘 알려져 있는 아인시타인, 이미 소개한 호킹이나 서스킨드, 10차원의 5개의 초끈이론을 통합하여 11차원 M-이론의 기반을 제공한 에드워드 위튼 같은 천재는 아마도 9.9등급이상, 물리학분야로 국한할 때는 거진 신의 영역인 10등급 이상의 인간들이지 싶다.
물리지식이 전혀 없었던, 2,500전의 先賢들이 태초를 어떻게 정의하고, 이해하였는가? 개인적으로, 현대물리학의 형이하학적 관점과, 유가, 도가, 석가에서 이해하는 태초전후에 대한 사상과의 비교는 태초에 대한 상상력을 아주 풍부하게 해줄 것이라 내심 기대를 해온 바가 있는 것이다.
'역사가 우리를 창조한 것이 아니라 우리가 역사를 창조했다' 는 호킹의 생각처럼, '우주와 생명에 관한 궁극적인 해답이 얻어진다면, 즉, 우주, 세상만물의 생성프로세스가 완벽히 밝혀진다면, 여기에 편승하여, 과학이 신을 대신하고, 인류를 구원하게 되는 것일까? 그리되면, 老子式 思惟도 끝을 보게 되는 것일까?
나에게는 현대물리학의 거의 궁극적인 결론'에 도가, 유가, 석가의 사상(?)을 대입해보고자 하는 부질없는 호기심과 관심이, 지금과 같은 부질없는 작업(?)을 계속하게 하는 動因이 되고 있는 것이다.
'동양철학 > 老子別義(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子別義(上)_27장_是謂要妙.(시위요묘) (0) | 2013.10.02 |
---|---|
老子別義(上)_26장_重爲輕根(중위경근) (0) | 2013.10.02 |
老子別義(上)_24장_道者不處(도자불처). (0) | 2013.10.02 |
老子別義(上)_23장_希言自然,(희언자연) (0) | 2013.10.02 |
老子別義(上)_22장_曲則全者(곡즉전자) (0) | 2013.10.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