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빛의 장막을 걷어내면, 비로소 심우주의 모습이 드러난다.
  • 與一利不若除一害, 生一事不若滅一事

동양철학/주역해설3

易經(역경)序의 異說 '진정한 허공을 본 이는 석가모니가 유일하다' 아인시타인이, 물질의 근본과 우주를 지배하는 물리법칙에 깊이 사유한 결과로 한 말이라 한다. 아인시타인이 여러 성현들의 말씀을 섭렵했다면 모를까, 그렇지 않다면, 후인들이 지어낸 말일 수 있다. 아인시타인이 석가모니 생각을 완전히, 제대로 이해하고 전했다고 볼 수 없고, 어떤 이가 비유적으로 말했을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믿을 수 있는 전함이 아니다. 그러나 저러나, 구경각(究竟覺)을 이룬 이가 人世에 있겠는가? 구경각을 이룬 이가 있다면 석가모니 정도일 것이다. * 구경각(究竟覺) : 궁극의 깨달음, 번뇌를 소멸시켜 완전한 마음의 근원에 대한 깨달음. 깨달음은 주관적이지만 그 극한의 깨달음, 궁극의 깨달음은 객관적 진리에 통할지도 모를 일이다. 시간과.. 2021. 2. 16.
다산을 만나다 주역은 동양철학사상중에서 기호화하고 수리적이고 실용적인 분야로 확장한 처음이자 마지막철학이 아닌가 생각한다. '하늘(天), 못(澤), 불(火), 우레(雷), 바람(風), 물(水), 산(山), 땅(地)'등 세상만물을 대표적인 8가지 물상(物象)으로 삼고, 이를 기호화하고, 수리화하여 삼라만상을 정.. 2016. 3. 25.
1.序言_周易(?)新小考 周易(易經)小考 --------------------------------------- 1. 序言 2. 복희(伏羲).문왕(文王)의 周易 3. 孔子의 周易 4. 라이프니츠와 周易 5. 周易의 再解析 6. 다산의 물음에 답하다. 7. 周易의 活用 --------------------------------------- 본글은 주역해설 '序文'으로 쓴글이다 서문에 이어, 복희(伏羲).문왕(文王)의 周易, 孔子의 周易, 라이프니츠와 周易, 周易의 再解析, 다산의 물음에 답하다, 周易의 活用등으로 쓰내려갈 글이다. 시간과의 다툼은 생각하지 않는다. 시간은 지극히 객관적이면서 지극히 주관적이다. 누구나에게 시간은 공평히 흘러가는 것 같지만, 누구에게나 불공평을 낳는다 인간이 없는 세상이라면, 그런 세상이 인간에게 의.. 2012. 1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