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빛의 장막을 걷어내면, 비로소 심우주의 모습이 드러난다.
  • 與一利不若除一害, 生一事不若滅一事
철학.에세이.한시.기타자료/유익한 글모음

아슈라마(ashrama)

by 靑野(청야) 2020. 9. 10.

아슈라마(ashrama)

고대인도인이 생각하는 인생의 4단계

 

제1단계: 학습기(學習期)

 

대략 25세까지, 이 시기는 

지식을 습득하고, 학교나 개인적 스승으로부터

삶의 경험과 지혜를 전수 배우고 간접경험을 쌓고 트레이닝 하는 기간이다

이 기간은 문명이 발달 할 수록 길어지며.

배워야 할 지식이 늘어날 수록 학습기간이 더 길어지게 되고.

특출한 재능은 이시기를 당기기도 한다.

이 시기에는 스스로의 깨달음으로

학습을 이어갈 수 있기도하지만,

이 시기가 고통스럽다면, 

지식, 지혜나 경험을, 제대로 습득할 수 없게 된다.

 

제2단계: 가주기(家住期)

 

대략 26세에서 50세까지, 이 시기에는

가정을 꾸미고 사회활동을 하는 시기로서 인생의 절정을 이루며.

자기 나라와 부모에 대하여 충성하고 효도하여 그 은혜에 보답하며,

자식을 낳아 잘 훈육함으로서 미래 발전의 기반을 닦는 기간이며.

이 기간이 길수록 사회발전에 기여도가 높아지는데

점점 더 이 중요한 시기는 짧아지고 있고, 한 숨으로 허송 세월하면서

후손들에게 애꿎은 빚만 남기고 뒤로 물러나려 한다.

 

제3단계: 임서기(林棲期)

 

대략 51세에서 75세까지, 이시기에는

사회적인 의무를 마친 다음 자신의 구원을 위하여 투자하는 기간이며.

사회생활로부터 벗어나 한적한 숲 속에 들어가 세상에

대한 집착을 끊고 엄격한 금욕생활을 실천하는 기간이며.

그러나 현실은 우리를 붙잡고 세상일을 걱정하게 만들고 있다.

 

제4단계: 유랑기(流浪期)

 

대략 76세 이후부터는

세속적 집착을 완전히 버리는 인생의 마지막 단계.

이 때는 살아 있으면서도 죽은 거나 마찬가지인 ‘산송장의 시기며.

평균 수명이 길어질 수록 이 시기는 길어지고 삶의 의욕은 떨어진다.

세상을 하직하는 노인이 늘어나고 있을 뿐이다.

 

푸루사르타(Purusartha)

고대인도인이 생각하는 사람이 추구해야할 목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