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에 작용하는 만유인력, 어찌 태양계뿐이겠는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無所不在, 無時不在' 하는 만유인력,
'道' 역시 '無所不在, 無時不在' 하다 하니....>
[ 도덕경 34장 ]
大道氾兮(대도범혜), 대도는 흘러 넘친다
其可左右(기가좌우), 이쪽저쪽 어디에나
萬物恃之而生而不辭(만물시지이생이불사), 만물이 의지하고, 태어나게 하지만 사양하고,
功成不名有(공성불명유), 공을 이루었어도 이름을 드러내지 않으며,
衣養萬物而不爲主(의양만물이불위주), 만물을 입히고 기르지만, 주인 노릇하려하지 않는다.
常無欲(상무욕), 항상 욕심이 없으니,
可名於小(가명어소), 이를 이름하여 부르기를 '작음'이라 한다.
萬物歸焉(만물귀언), 만물이 모여드나
而不爲主(이불위주), 주인노릇하려하지 않으니,
可名爲大(가명위대), 이를 이름하여 부르기를 '크다'라고 한다
以其終不自爲大(이기종불자위대), 그것으로써, 스스로 크다고 하지 않는다
故能成其大(고능성기대).고로 능히 크게 이룰 수 있다.
주) * 氾 : 넘칠 범->넘치다, 흐르다, (물에)뜨다, (물에)띄우다, 넓다
* 恃 : 믿을 시, 어머니 시->믿다, 의지하다, 의뢰하다, 자부하다, 어머니
* 終 : 마칠 종-> 마치다,끝내다, 죽다, 다하다,이루어지다, 완성되다.
[대도는 흘러 넘친다. 이쪽저쪽 어디에나. 도는 만물이 의지하고, 태어나게 하지만 사양하고, 도는 그런 공을 이루었어도 이름을 드러내지 않으며, 만물을 입히고 기르지만, 주인 노릇하려하지 않는다. 도는 항상 욕심이 없으니, 이를 이름하여 부르기를 '작음'이라 한다. 도에는 만물이 모여드나 주인노릇을 하려하지 않으니, 이를 이름하여 부르기를 '크다'라고 한다. 그것으로, 도는 스스로 크다고 하지 않는다. 고로 능히 크게 이룰 수 있다]
도덕경 여러곳에서 도와 그 작용에 대해 다양한 비유적 설명이 있었지만, 이 장에서는 도를 의인화하여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도를 완전히 통달한 사람의 입장으로 접근하면, 도의 입장에서 설명하는 본뜻에 가깝게 접근하게 되지 않을까?
'이쪽저쪽 어디에나, '대도는 흘러 넘친다'는 것은 장자의 도에 대한 설명인 '無所不在, 無時不在, 道在屎尿(도는 있지않는 곳이 없고, 있지 않는 때가 없다. 심지어는 똥오줌속에도 있다)' 는 사상이 여기에서 기반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있지 않는 곳이 없다 즉, 언제 어디에나 항상 존재한다는 萬有思想이다. 카톨릭의 천주개념 역시 '無所不在, 無時不在'로 설명하기도 한다.
만유에 존재하는 것 중에 萬有引力이라는 것이 있다.
만유인력은 잘 알려져 있듯이, 우주에 존재하는 두 물체간에 끌어당기는 힘(F)이다
大道氾兮(대도범혜), 대도는 흘러 넘친다
其可左右(기가좌우), 이쪽저쪽 어디에나
萬物恃之而生而不辭(만물시지이생이불사), 만물이 의지하고, 태어나게 하지만 사양하고,
功成不名有(공성불명유), 공을 이루었어도 이름을 드러내지 않으며,
衣養萬物而不爲主(의양만물이불위주), 만물을 입히고 기르지만, 주인 노릇하려하지 않는다.
常無欲(상무욕), 항상 욕심이 없으니,
可名於小(가명어소), 이를 이름하여 부르기를 '작음'이라 한다.
萬物歸焉(만물귀언), 만물이 모여드나
而不爲主(이불위주), 주인노릇하려하지 않으니,
可名爲大(가명위대), 이를 이름하여 부르기를 '크다'라고 한다
以其終不自爲大(이기종불자위대), 그것으로써, 스스로 크다고 하지 않는다
故能成其大(고능성기대).고로 능히 크게 이룰 수 있다.
주) * 氾 : 넘칠 범->넘치다, 흐르다, (물에)뜨다, (물에)띄우다, 넓다
* 恃 : 믿을 시, 어머니 시->믿다, 의지하다, 의뢰하다, 자부하다, 어머니
* 終 : 마칠 종-> 마치다,끝내다, 죽다, 다하다,이루어지다, 완성되다.
[대도는 흘러 넘친다. 이쪽저쪽 어디에나. 도는 만물이 의지하고, 태어나게 하지만 사양하고, 도는 그런 공을 이루었어도 이름을 드러내지 않으며, 만물을 입히고 기르지만, 주인 노릇하려하지 않는다. 도는 항상 욕심이 없으니, 이를 이름하여 부르기를 '작음'이라 한다. 도에는 만물이 모여드나 주인노릇을 하려하지 않으니, 이를 이름하여 부르기를 '크다'라고 한다. 그것으로, 도는 스스로 크다고 하지 않는다. 고로 능히 크게 이룰 수 있다]
도덕경 여러곳에서 도와 그 작용에 대해 다양한 비유적 설명이 있었지만, 이 장에서는 도를 의인화하여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도를 완전히 통달한 사람의 입장으로 접근하면, 도의 입장에서 설명하는 본뜻에 가깝게 접근하게 되지 않을까?
'이쪽저쪽 어디에나, '대도는 흘러 넘친다'는 것은 장자의 도에 대한 설명인 '無所不在, 無時不在, 道在屎尿(도는 있지않는 곳이 없고, 있지 않는 때가 없다. 심지어는 똥오줌속에도 있다)' 는 사상이 여기에서 기반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있지 않는 곳이 없다 즉, 언제 어디에나 항상 존재한다는 萬有思想이다. 카톨릭의 천주개념 역시 '無所不在, 無時不在'로 설명하기도 한다.
만유에 존재하는 것 중에 萬有引力이라는 것이 있다.
만유인력은 잘 알려져 있듯이, 우주에 존재하는 두 물체간에 끌어당기는 힘(F)이다
M m
F= G -----
R2
두 물체의 질량이 M, m이고 두 물체 사이의 거리가 R이라면 상기식이 만유인력의 법칙이다. 여기서 G는 만유인력상수 또는 중력상수라고 한다. 이 값은 공간과 시간에 무관하게 언제나 일정한 값(상수)을 가진다. 즉, 우주 언제, 어디에서나 동일값을 가진다는 것이다. 그 값의 크기(G)는 아래와 같다
G = 6.67259×10-11(N․m2/kg2)
주) * N은 '유도단위'로 기본단위인 힘.무게 단위로 부터 유도된 단위(kg·m/s2)
* 유도단위: 7가지 기본단위 길이, 질량, 시간, 전류, 열역학온도, 물질량, 광도로 부터
유도된 단위
그런데, 왜 만유인력이 존재하느냐' 고 묻는다면, 뉴톤은 그 원인을 알지 못했다고 한다. 아인시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으로 공간왜곡이 그 원인이라 하였다지만, '왜 그런 공간왜곡이 생기는 지, 아직까지 명쾌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원인, 뿐만 아니라,
왜 그 값(G)인가?
왜 상수(Constant)값 인가?
언젠가 빛에 대한 사유를 다시 떠올린다.
빛이란 무엇인가
빛의 속도는 왜 그 값인가(30만 km/s )
왜 상수값인가?
역시 명쾌한 대답이 없다. 유일한(?) 창구는 일찌기 소개한 M이론이라고 생각한다. M이론을 차용한 내 생각에는 이것이 빛과 물질과 더불어 우주가 존재하기 위한 가장 본질인 요소인 것이기 때문이지 않는가 하는 것이다.
물질이 만유에 존재하기 위해서는 물질간에, 그것이 크던 작던 끌어당기는 힘이 존재해야 틀을 유지한다. 하지만, 끌어당기기만 해서는 만유의 틀이 유지될 수 없다. 여기에는 이 힘에 반발하는 힘, 이른바 척력이 적당히 존재해야 하는 것이다.
척력은 지금으로 부터 137억년전, 우주대폭발로 생긴 것이라 한다. 그 척력이 얼마나 컸으면, 지금까지 반경 470광년의 크기(1광년은 초당 30만 km로 빛이 1년동안 달린 거리)로 우주를 확장시키고 있고, 그리고 앞으로도 수백억년동안 이 우주를 계속 확장시킬 것이라 한다. 이에 반발하는 힘이 만유인력이라 생각하는 것이다. 크던 작던 모든 물질간에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존재함으로써 그나마 이 우주가 이정도로 안정된 틀을 유지하며 확정되고 있는 것이다.
인력에 반발하는 힘이 척력이고, 척력에 반발하는 힘이 인력인 것이다. 우주생성의 결과로, 반대되는 두 힘간에는 어느 일방이 지배하지 않는 묘한 동적균형이 이루어져 있다. 이 우주의 묘한 동적균형의 결과물, 이만큼의 동적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이만큼의 만유인력 상수. 그것이 조금 더 커도 안되고, 조금 더 작아도 안되는 그런 조화로운 동적 균형이라는 것이 나의 사유결론이다. 동적균형이라는 것은 약간의 척력이 커서 팽창을 하되 급격한 팽창이 아닌 이 우주를 이 만큼 유지시키면서 팽창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 정도도 빛의 속도로 팽창하는 것이라 한다. 그만큼 이우주가 광대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쪽의 힘 즉, 척력이 커면, 물질이 지금처럼 유지하지 못하고, 결국은 비물질로 환원 즉. 무로 돌아갈 것이고, 인력이 커다면, 우주는 급속이 줄어들어, 모든 것이 붕괴하고 마침내 집중된 에너지로 또 다른 대폭발을 야기하게 될 것이다, 결국 그 과정을 아마도 영원히 반복하게 될 것이다. 현재는 약간의 척력이 커서, 우주가 끊임없이 팽창하고 있고, 그 힘의 적당한 불균형으로 앞으로 예측되는 우주의 종말까지 우주는 팽창하리라 한다. 불균형이 해소되는 시점이 우주의 팽창이 멈추는 싯점이 될 것이다. 그 다음은 우주의 수축이 이루어질 것이다. 그때는 척력과 인력의 위상이 바뀌게 된다. 이것이 가장 권위있는 현대우주론인 '팽창우주론'의 일부로 이해된다. 물론 내식으로의 이해이다. 영원의 견지에서 보면, 이 우주도 찰라에 불가하고, 끝없이 우주가 생성소멸된다는 석가의 말씀도, 이런 사유인식의 바탕과 동류(同類)가 아닌가 한다.
만유인력, 만유인력상수야 말로 노자의 도의 실체나, 장자의 '無所不在, 無時不在' 대상이라 할 만하다. 노자나 장자시대는 그리스시대와 더불어, 인류문명사에서 '지혜의 시대' 라 하는 데, 동시대에 이런 우주천문학의 기초가 있었다면, 노자, 장자의 사유는 어떤 결과로 나타났을까?
<왕필본>
大道氾兮,其可左右,
萬物恃之而生而不辭, 功成不名有,
衣養萬物而不爲主, 常無欲, 可名於小,
萬物歸焉, 而不爲主,可名爲大,
以其終不自爲大, 故能成其大
<백서본>
道汜呵, 其可左右也.
成功遂事, 而弗名有也.
萬物歸焉, 而弗爲主, 則恒無欲也, 可名於小.
萬物歸焉, 而弗爲主, 可名於大.
是以聖人以其不爲大也, 故能成大.
본 장은 초간본에는 없다. 백서본과 왕필본을 비교해보면, 이체자(글자체는 틀리나 같은 뜻)가 좀 있으며 배열이 다소 어긋난 부분이 있고. 왕필본에 '萬物恃之而生而不辭(만물이 의지하고, 태어나게 하지만 사양하다)'는 귀절이 추가되어 상당히 차이가 나는 듯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도를 의인화 하듯하여 전하고자 하는 뜻과 맥락은 별로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니다.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할 것이다.
'氾'은 범람(氾濫)이라는 뜻이다. 그러니, 좌우(左右) 어디에나 넘쳐 흐르고 있다는 말이다. 어디 좌우 뿐이겠는가, 左右는 공간적,시간적으로 모든 때, 모든 곳을 통칭한다. 우주시공간 구석구석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래서 도는 만물의 본질이고 근원이니 마땅이 만물의 어미이고 만물이 의지하여야 할 대상이다. 그래서 만물입장에서 보면, 자신은 도를 어미로, 도에 의지하여 태어난 것이지만, 도는 작의적이지 않다. 그냥 만유의 본질이고 원리로서 존재만 할 뿐이다.
그러니, 굳이 만물을 태어나게 하고, 의지하게 한 공을 이루고자 하지 않았지만, 결과적으로 그 공을 이루게 되고, 굳이 만물을 입히고 기르지 않았지만, 결과적으로 그 일을 완수하게 되었다. 당연히, 결과로 功(공)을 이루었지만, 도는 욕심내고 주인노릇 하려 하지 않는다.
도는 이처럼 항상 욕심이 없으니, 이를 이름하여 부르기를 '작음'이라 한다. 만물이 태어나고, 의지하고, 만물을 입히고 기르는 것이 얼마나 큰 일인가, 세상의 모든 일인 것이다. 하지만 도의 입장에서는, 결과적으로 만물이 도를 의지하고, 도를 자양분으로 자랐을 뿐이다. 그것은 극히 사소한 작은 일이다
그러니, 만물의 입장에서는 만물이 모여드나 주인 노릇하려 하지 않으니, 도를 일컬어 '크다'라고 하겠지만, 만물을 태어나고 기르고, 의지하게 한 것도 스스로 크다고 하지 않고, 사소한 일, 작음이라 했거늘, 어찌 무한한 도의 역량을 재단하겠는가? 그러니 도는 능히 크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바다물을 담는 그릇이 아무리 크다한들, 어찌 바닷 자체와 비유하겠는가? 아무리 큰 그릇이라도 바닷에 비하면 '작음'이라 말할 수 밖에 없다. 모든 물을 다 담고도 크다 생각하지 않으니, 능히 바다는 세상을 모든 물을 크게 담을 수 있는 것이다.
도는 모든 것을 수용하고도 텅비어있듯 크니, 그 속을 다 채우는 것은 무량하다할 것이다. 그러니, 어찌 크다하지 않겠는가?
'是謂要妙(시위요묘) 이를 일러 헤아릴 수 없이 묘하다' 고 하고 싶은 장이다.
유도된 단위
그런데, 왜 만유인력이 존재하느냐' 고 묻는다면, 뉴톤은 그 원인을 알지 못했다고 한다. 아인시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으로 공간왜곡이 그 원인이라 하였다지만, '왜 그런 공간왜곡이 생기는 지, 아직까지 명쾌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원인, 뿐만 아니라,
왜 그 값(G)인가?
왜 상수(Constant)값 인가?
언젠가 빛에 대한 사유를 다시 떠올린다.
빛이란 무엇인가
빛의 속도는 왜 그 값인가(30만 km/s )
왜 상수값인가?
역시 명쾌한 대답이 없다. 유일한(?) 창구는 일찌기 소개한 M이론이라고 생각한다. M이론을 차용한 내 생각에는 이것이 빛과 물질과 더불어 우주가 존재하기 위한 가장 본질인 요소인 것이기 때문이지 않는가 하는 것이다.
물질이 만유에 존재하기 위해서는 물질간에, 그것이 크던 작던 끌어당기는 힘이 존재해야 틀을 유지한다. 하지만, 끌어당기기만 해서는 만유의 틀이 유지될 수 없다. 여기에는 이 힘에 반발하는 힘, 이른바 척력이 적당히 존재해야 하는 것이다.
척력은 지금으로 부터 137억년전, 우주대폭발로 생긴 것이라 한다. 그 척력이 얼마나 컸으면, 지금까지 반경 470광년의 크기(1광년은 초당 30만 km로 빛이 1년동안 달린 거리)로 우주를 확장시키고 있고, 그리고 앞으로도 수백억년동안 이 우주를 계속 확장시킬 것이라 한다. 이에 반발하는 힘이 만유인력이라 생각하는 것이다. 크던 작던 모든 물질간에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존재함으로써 그나마 이 우주가 이정도로 안정된 틀을 유지하며 확정되고 있는 것이다.
인력에 반발하는 힘이 척력이고, 척력에 반발하는 힘이 인력인 것이다. 우주생성의 결과로, 반대되는 두 힘간에는 어느 일방이 지배하지 않는 묘한 동적균형이 이루어져 있다. 이 우주의 묘한 동적균형의 결과물, 이만큼의 동적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이만큼의 만유인력 상수. 그것이 조금 더 커도 안되고, 조금 더 작아도 안되는 그런 조화로운 동적 균형이라는 것이 나의 사유결론이다. 동적균형이라는 것은 약간의 척력이 커서 팽창을 하되 급격한 팽창이 아닌 이 우주를 이 만큼 유지시키면서 팽창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 정도도 빛의 속도로 팽창하는 것이라 한다. 그만큼 이우주가 광대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쪽의 힘 즉, 척력이 커면, 물질이 지금처럼 유지하지 못하고, 결국은 비물질로 환원 즉. 무로 돌아갈 것이고, 인력이 커다면, 우주는 급속이 줄어들어, 모든 것이 붕괴하고 마침내 집중된 에너지로 또 다른 대폭발을 야기하게 될 것이다, 결국 그 과정을 아마도 영원히 반복하게 될 것이다. 현재는 약간의 척력이 커서, 우주가 끊임없이 팽창하고 있고, 그 힘의 적당한 불균형으로 앞으로 예측되는 우주의 종말까지 우주는 팽창하리라 한다. 불균형이 해소되는 시점이 우주의 팽창이 멈추는 싯점이 될 것이다. 그 다음은 우주의 수축이 이루어질 것이다. 그때는 척력과 인력의 위상이 바뀌게 된다. 이것이 가장 권위있는 현대우주론인 '팽창우주론'의 일부로 이해된다. 물론 내식으로의 이해이다. 영원의 견지에서 보면, 이 우주도 찰라에 불가하고, 끝없이 우주가 생성소멸된다는 석가의 말씀도, 이런 사유인식의 바탕과 동류(同類)가 아닌가 한다.
만유인력, 만유인력상수야 말로 노자의 도의 실체나, 장자의 '無所不在, 無時不在' 대상이라 할 만하다. 노자나 장자시대는 그리스시대와 더불어, 인류문명사에서 '지혜의 시대' 라 하는 데, 동시대에 이런 우주천문학의 기초가 있었다면, 노자, 장자의 사유는 어떤 결과로 나타났을까?
<왕필본>
大道氾兮,其可左右,
萬物恃之而生而不辭, 功成不名有,
衣養萬物而不爲主, 常無欲, 可名於小,
萬物歸焉, 而不爲主,可名爲大,
以其終不自爲大, 故能成其大
<백서본>
道汜呵, 其可左右也.
成功遂事, 而弗名有也.
萬物歸焉, 而弗爲主, 則恒無欲也, 可名於小.
萬物歸焉, 而弗爲主, 可名於大.
是以聖人以其不爲大也, 故能成大.
본 장은 초간본에는 없다. 백서본과 왕필본을 비교해보면, 이체자(글자체는 틀리나 같은 뜻)가 좀 있으며 배열이 다소 어긋난 부분이 있고. 왕필본에 '萬物恃之而生而不辭(만물이 의지하고, 태어나게 하지만 사양하다)'는 귀절이 추가되어 상당히 차이가 나는 듯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도를 의인화 하듯하여 전하고자 하는 뜻과 맥락은 별로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니다.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할 것이다.
'氾'은 범람(氾濫)이라는 뜻이다. 그러니, 좌우(左右) 어디에나 넘쳐 흐르고 있다는 말이다. 어디 좌우 뿐이겠는가, 左右는 공간적,시간적으로 모든 때, 모든 곳을 통칭한다. 우주시공간 구석구석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래서 도는 만물의 본질이고 근원이니 마땅이 만물의 어미이고 만물이 의지하여야 할 대상이다. 그래서 만물입장에서 보면, 자신은 도를 어미로, 도에 의지하여 태어난 것이지만, 도는 작의적이지 않다. 그냥 만유의 본질이고 원리로서 존재만 할 뿐이다.
그러니, 굳이 만물을 태어나게 하고, 의지하게 한 공을 이루고자 하지 않았지만, 결과적으로 그 공을 이루게 되고, 굳이 만물을 입히고 기르지 않았지만, 결과적으로 그 일을 완수하게 되었다. 당연히, 결과로 功(공)을 이루었지만, 도는 욕심내고 주인노릇 하려 하지 않는다.
도는 이처럼 항상 욕심이 없으니, 이를 이름하여 부르기를 '작음'이라 한다. 만물이 태어나고, 의지하고, 만물을 입히고 기르는 것이 얼마나 큰 일인가, 세상의 모든 일인 것이다. 하지만 도의 입장에서는, 결과적으로 만물이 도를 의지하고, 도를 자양분으로 자랐을 뿐이다. 그것은 극히 사소한 작은 일이다
그러니, 만물의 입장에서는 만물이 모여드나 주인 노릇하려 하지 않으니, 도를 일컬어 '크다'라고 하겠지만, 만물을 태어나고 기르고, 의지하게 한 것도 스스로 크다고 하지 않고, 사소한 일, 작음이라 했거늘, 어찌 무한한 도의 역량을 재단하겠는가? 그러니 도는 능히 크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바다물을 담는 그릇이 아무리 크다한들, 어찌 바닷 자체와 비유하겠는가? 아무리 큰 그릇이라도 바닷에 비하면 '작음'이라 말할 수 밖에 없다. 모든 물을 다 담고도 크다 생각하지 않으니, 능히 바다는 세상을 모든 물을 크게 담을 수 있는 것이다.
도는 모든 것을 수용하고도 텅비어있듯 크니, 그 속을 다 채우는 것은 무량하다할 것이다. 그러니, 어찌 크다하지 않겠는가?
'是謂要妙(시위요묘) 이를 일러 헤아릴 수 없이 묘하다' 고 하고 싶은 장이다.
이 귀절이 27장의 마지막 귀절인데, 나보고 개작하라한다면, 본 장의 제일 마지막에, 이귀절을 옮겨오고 싶은 것이다.
'동양철학 > 老子別義(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子別義(上)_36장_是謂微明(시위미명) (0) | 2014.01.07 |
---|---|
老子別義(上)_35장_執大象也(집대상야) (0) | 2014.01.07 |
老子別義(上)_33장_不亡者壽(불망자수) (0) | 2013.12.22 |
老子別義(上)_32장_道常無名(도상무명) (0) | 2013.10.02 |
老子別義(上)_31장_勝而不美(승이불미) (0) | 2013.10.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