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빛의 장막을 걷어내면, 비로소 심우주의 모습이 드러난다.
  • 與一利不若除一害, 生一事不若滅一事
동양철학/老子別義(上)

老子別義(上)_12장 去彼取此(거피취차)

by 靑野(청야) 2013. 7. 14.
 
함곡관을 나서는 노자, 정선의 <노자출관(老子出關)> (간송미술관 소장)
 
[ 도덕경12장 ]

五色 令人目盲(오색 령인목맹) 오색이 사람의 눈을 멀게하고
五音 令人耳聾(오음 령인이농) 오음이 사람의 귀를 멀게하며,
五味 令人口爽(오미 령인구상) 오미는 사람의 입을 버리게 한다.
馳騁田獵 令人心發狂(치빙전렵 령인심발광) 말을 타고 달리며, 사냥을 하는 것은, 사람의 마음을 미치게 하고,   難得之貨 令人行妨(난득지화 령인행방) 얻기 어려운 재화는 사람의 행동거지를 방해한다.
是以 聖人 爲腹不爲目(시이 성인 위복불위목)  이 때문에 성인은 배를 위하지, 눈을 위하지 않는다
 
故 去彼取此(고 거피취차) 그러므로,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한다

주) * 令 : 하여금 령, 하여금 영->하여금,가령(假令),이를테면, 법령(法令),규칙(規則), 벼슬.
     * 聾 : 귀먹을 롱, 귀먹을 농->귀먹다, 캄캄하다, 어리석다, 무지(無知)하다
     * 爽 : 시원할 상-> 시원하다, 서늘하다, 상하다
     * 馳 : 달릴 치-> 달리다, 질주하다, 지나가다, 경과하다
     * 騁 : 달릴 빙-> (말을)달리다, 펴다, 제멋대로 하다, 신장하다, (마음을)달리다
     * 獵 : 사냥 렵, 사냥 엽 ->사냥,  (바람 등의)소리, 사냥하다, 찾다, 추구(追求)하다
     * 妨 : 방해할 방 ->방해(방해)하다, 거리끼다, 헤살을 놓다, 순조롭지 못하게 방해(妨害)되다
     * 腹 : 배 복->배, 오장육부, 마음, 속마음,가운데, 중심
     * 此 : 이 차 -> 이(것), 이에

 
[겉보기에 화려한 색들은 사람의 눈을 현혹시켜, 사물의 본질을 제대로 보지 못하게 할 것이고, 듣기좋은 소리들이, 제대로 된 소리를 못듣게 사람의 귀를 멀게 할 것이고, 온갖 맛은 사람의 입맛을 버리게 하여, 제대로의 맛을 음미하지 못하게 할 것이다.  말을 타고 달리며 사냥하는 것은 사람의 마음을 차분하지 못하도록 들떠 미치게 하며,  얻기 어려운 귀한 물건은 그걸 탐하고 집착하게 하여, 사람의 행동을 제한하고 방해할 것이다. 이 때문에, 성인은, 적절히 채우면 불러져서 더 이상 채울 수 없는 배처럼, 지나치지 않고, 자연스레 절제하는 행동을 취하지,  눈으로 보이는 감각에 따라 끝없이 추구하는 행동을 취하지 않는다.그러므로,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한다. ]
 
 
도덕경 12장 역시 짧지만, 묘한 뉘양스를 풍귀는  句節들로 차 있다. 여기서는 눈, 귀, 입, 마음, 행위의 감각적이고 물질적인 집착을 경계하고,  절제를 추구하는 성인의 도리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五色 令人目盲(오색 령인목맹) 五音 令人耳聾(오음 령인이농)五味 令人口爽(오미 령인구상)
 
五色은 청(靑)·적(赤)·황(黃)·흑(黑)·백(白)색, 五味는 신맛·쓴맛·단맛·매운맛·짠맛이고, 五音은 궁(宮)·상(商)·각(角)·치徵·우(羽)를 이름이다. 아마도 노자시대에, 당연히,색과 맛과 소리에 대한 기본적인 분류, 식별이 정연히 정립되어 있었던 것 같다.
 
하지만, 다섯가지라 한들, 세상에 색과 소리와 맛이 다섯 뿐이겟는가? 오색, 오음, 오미는 온갖 색과 온갖소리, 온갖  맛을 대표하고 통칭하는 의미일 것이다. 그래서,  노자가 여기서, 이야기하는  오색은 사람의 눈을 현혹시키는 화려한 겉모습에 눈이 멀어, 진정한 마음에서 우러나는 마음의 눈을 가리고, 오음은 ' 듣기 좋은 소리, 칭찬하고, 아첨하는 소리로 이 소리에 귀가 멀어, 진정한 마음의 소리에 어두어지게 하며,  오미도 마찬가지로 '산해진미로 입맛이 길들여져, 진정한 맛을 모르게 하는 요소를 대표하는 단어로서, 본 뜻인즉,  이런 감각기관에 너무 집착하지 말라는 경구에 동원하는 단어들인 것이다.
 
馳騁田獵 令人心發狂(치빙전렵 령인심발광) 難得之貨 令人行妨(난득지화 령인행방)
 
또, 말을 달리며 사냥을 하는 것은, 사냥물을 쫓고, 사냥물을 포획할 때의 말초적인 흥분과 짜릿함에 취하면, 사람의 마음이 거기에 빠져 미치게 됨을 경계하고, 굳이 難得之貨 즉, 귀한 재물을 얻을 려고 하다보면, 사람이, 거기에 집착하여, 자유롭고 여유있게 행동하지 못하고 그로 인해 행동에 지장을 받고, 방해를 받게 될 것이다
 
是以 聖人 爲腹不爲目(시이 성인 위복불위목) 
 
그러므로, 성인은, 적절히 채우면 불러져서 더 이상 채울 수 없는 배처럼, 지나치지 않고, 자연스레 절제하는 행동을 하지,  눈으로 보이는 감각에 따라 끝없이 추구하는 행동을 하지 않는다.
 
'是以 聖人 爲腹不爲目(시이 성인 위복불위목) 
그러므로 성인은 배부름을 위하지, 눈을 위하지 않는다 (도덕경12장)'
'是以 聖人之治(시이성인지치) 虛其心(허기심)  實其腹(실기복)  
그러므로, 성인의 다스림은 마음을 비우고,  배를 채울 것이다(도덕경 3장)'   
 
도덕경에 자주등장하는  '배'와 '눈'은 무슨 의미인가? 배를 위하고, 채운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先人들의 해석을 보면,

'눈은 만족할 줄 모르므로 성인이 위하지 않고, 배는 족함을 알기 때문에 성인이 위한다(이약).'
'눈은 탐하기만 하고 받아들이지 않으며, 배는 받아들이기는 하되 탐하지는 않는다(소철)'
"배를 위하는 사람은 사물을 이용하여 자신을 살찌우고, 눈을 위하는 사람은 사물 때문에 자신을 수고롭게 한다(왕필)'

주) * 李約(이약) : 당나라 종실, 매화 그림을 잘 그렸고, 해서와 예서도 잘 썼다
     * 蘇轍(소철) : 북송 사람, 저서로는 論語拾遺(논어습유), 詩經傳(시경전), 道德經解(도덕경해)

즉, 先人들의 해석과 같이, 배(腹)는 본문해석에서 설명처럼,  적절히 채우면 불러져서 더 이상 채울 수 없어, 지나침을 경계 즉 절제하며  행동하는 것을 대표하는 것일 것이고, 눈(目)은, 바캍으로 열려있는 세상을 보기 때문에, 겉보기의 화려함을 쫓아 만족할 줄 모르고  끝없이 추구하며, 탐욕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대표하는 말이다.
 
본장에 등장하는 눈, 귀, 입, 마음, 행위, 배의 6 가지 인체요소중, 마지막 귀절에  단지 눈과 배만을 비교한 것은, 배는 절제를 대표하는  기관으로 상징화 한 것이고,  색, 소리, 맛, 탐욕과 행동등  감각적 욕망을 대표하는 것으로 눈(目)을 삼았기 때문일 것이다.
 
故 去彼取此(고 거피취차)

이 귀절은 본장(12장), 38장, 72장에 등장한다. 이것은 모두, '그러므로,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한다'의 뜻이니, 문맥상, 버려야 할 대상은 저것, 취해야 할 대상은 이것으로 표현한 것이다.

'是以大丈夫處其厚, 不居其薄, 處其實, 不居其華, 故去彼取此(도덕경 38장)'
'是以聖人自知 不自見 自愛 不自貴 故去彼取此(도덕경 72장)'

본문의 버려야 할 거(去)는 눈(目)으로 대표되는 탐욕적이고 감각적인 행동이고, '취해야할 차(此)는
배(腹)로 대표되는, 절제하며 지나침을 경계하는 행동이라 할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