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빛의 장막을 걷어내면, 비로소 심우주의 모습이 드러난다.
  • 與一利不若除一害, 生一事不若滅一事
동양철학/老子別義(上)

老子別義(上)_10장 是謂玄德(시위현덕)

by 靑野(청야) 2013. 7. 13.
 

 

 

 

[도덕경 10장]


載營魄抱一(재영백포일) 영.백을 하나로 붙잡아두고,
能無離乎(능무리호) 능이 떨어지지 않게 하겠는가?
專氣致柔(전기치유) 전기를  부드럽게 하여
能嬰兒乎(능영아호) 능히 간난아기처럼 될 수 있겠는가? 
滌除玄覽(척제현람) 사물을 꿰뚫어 보는 능력을 갈고 딲아
能無疵乎(능무자호) 허물을 남기지 않도록 할 수 있겠는가
愛民治國(애민치국) 백성을 사랑하고, 나라를 다스리는 데,
能無爲乎(능무위호) 능히 함이없이 자연스럽게 할 수 있겠는가?
天門開闔(천문개합) 하늘의 문을 열고 닫는데,
能無雌乎(능무자호) 능히 암컷처럼 하겠는가?
明白四達(명백사달) 통팔달 두루 밝은 지혜를 가지고 있으면서,
能無知乎(능무지호) 아무것도 모르는 듯 할 수 있겠는가?


生之畜之(생지축지) 만물을 낳고, 만물을 기르며
生而不有(생이불유) 만물을 생기게 했지만, 소유하지 않고
爲而不恃,(위이지시) 위해하였지만, 뽐내지 않고,
長而不宰(장이부재) 자라게 하지만, 이를 부리지 않는다


是謂玄德(시위현덕) 이를 일러 현묘한 덕이라 한다,

주)* 載    : 실을 재, 떠받을 대-> 싣다, (머리에)이다, 물건을 머리에 얹다, 오르다

    * 抱一 : 하나로 포용하다

    * 專氣 : 오로지 전(專), 기운(氣)격국용신(格局用神)의 역량이 극히 강한 것, 오로지(專) 기를 모우는 것,
    * 滌    : 씻을 척 -> 씻다, 딲다, 청소하다

    * 玄覽 : 사물의 진장을 꿰뚤어 봄, 현묘한 능력, 

    * 疵    : 허물 자 -> 허물, 흉, 결점, 흉터
    * 雌    : 암컷 자 -> 암컷, 약하다, 쇠약하다

    * 恃    : 믿을 시, 어머니 시 -> 믿다 의지하다 자부하다

 

[정신과 육체가 일체가 되도록 하여, 따로 놀지 않도록 하겠는가?  

 정신과 육체의 강건한 기운을 부드럽게 하여 어린아이처럼 될 수 있겠는가?  

 사물을 궤뚫어보는 능력을 갈고 딲아(마음을 깨끗이 하여) 어떤 흠도 남기지 않겠는가?   

 백성을 사랑하고 나라를 다스리는 데, 인의적으로 억지없이 자연스럽게 할 수 있겠는가?

 만물을 낳고 기르는 데, 능히 만물의 어미가 없이 되겠는가?

 사통팔달, 훤한 지혜를 가지고 있으면서, 아무것도 모르는 듯이 할 수 있겠는가?

 만물을 낳고 만물을 기르며, 만물을 낳지만 소유하지 않고,

 만물을 위하여 했지만, 이를 뽑내지 않고

 만물을 자라게 하지만, 이를 부리지 않는 것 

 이를 일러 현묘한 덕이라 한다 ] 

 

도덕경에 대한 해석이 분분하고, 학자에 따라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  어느 한 장이라도 논란이 없는 장이 없다.  도덕경에서, '道' 즉 '세상만물이 존재하는 이치와 원리' 와  '德' 즉 그 도의 작용원리가 만물에 내재하며, 어떤 작용으로 만물이 존재하게 하는가' 에 대해 말하고자 하는 데, 여러 분야, 여러 각도에서 끊임없는 비유와 은유법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여러 개별사례로 부터, 추론하여  일반화 할 수 있는 공통원리를 끌어내는 귀납법' 이나 '일반화된 원리와 이치로 부터 개별사안에 적용하는 결과를 이끌어내는 연역법' 의 논리학이,  아직 당시에는 분화되지 않았을 지 모르지만,  도덕경의  각장에서, 이런 歸納法(귀납법)적 프로세스' 와    演繹法(연역법)적 프로세스' 의 원형을 보는 듯하다. 완전한 형태는 아니라 해도, 어떤 장에서는 연역법적 프로세스가, 어떤 장에서는 귀납법적 프로세스와 유사한 접근 방식이 구사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관점으로 보면, 사실, 도덕경 각 장마다 결론에 해당하는 핵심귀절이나 단어가 있어, 대부분 맨 앞에 나오거나, 맨 마지막에 나오는 형태를 취하고 있고, 이를 설명하기 위한 보조 단어나 귀절들이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핵심 단어나 句節이 도덕경의 본디 뜻 즉, 요체 파악에 지장이 없다면, 과정의 단어나 句節의 해석에 너무 연연할 필요없다고 생각한다.  너무 본뜻과 벗어나, 덧칠하고, 자기 철학을 내세우지 않는다면, 다양한 해석은 오히려, 상상력과 유연성을 더해서 도덕경의 가치를 풍부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경계 즉, 노자가 말하고자 하는 깨달음의 범위와  그 범위를 벗어남을 알아내는 것도  예산일이 아니기는 하다.

 

이런 관점으로 볼 때, 도덕경 10장도, 귀납법적 프로세스를 밟고 있어, 결론은 마지막 '賢德(현묘한 덕)', 더 좁히면 '德'에 촛점이 맞추어 져 있다. 앞의 귀절은 '현묘한 덕'을 설명하는 보조 귀절이라는 것이다. '현묘한 덕', 즉 도가 신체에 작용하는 원리, 정치에 작용하는 원리, 자연을 생성시키는 원리이다.

 

 내 생각에는 이 장에서도 또 많은 논란거리를 제공하는 句節이 등장하는 데, 그 핵심귀절은  載營魄抱一(재영백포일)의 '營魄(영백)' 과 專氣致柔(전기치유)의 '專氣' , 天門開闔(천문개합)와  能無雌乎(능무자호) 의 '雌(암컷)' 의 개념이 아닐까 생각한다. 

 

載營魄抱一(재영백포일) 能無離乎(능무리호)

 

왕필(중국 위나라 玄學者)은 營(영)을  魂(혼)이라 해석한다. 그래서 혼.백으로 본다. 또 어떤 이는 혼백이 깃든 정신과 육체로 해석한다. 그래서, '抱一' 은 다음의 能無離乎(능무이호)의 '離(떨어지다, 떠나다)' 와 반대되는 댓귀로, '하나로 포용하다'. '하나로 붙잡다' 로 보는 것이다.  나도 營魄(영백)의 개념은 왕필의 혼.백의 의견과 다음 문장의 專氣의 개념을 연관시켜,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정신과 육체가 일체가 되도록 하여, 따로 놀지 않도록 하겠는가' 

 

다른 이들의 해석을 보자,

 

'넋(魄)을 운영하여 싣고서 감싸안아 하나로 하여,  능히 도(道)와 떨어지지 않게 할수 있겠는가? " 

'온 나라 국민들의 마음을 하나에 담아서 이것이 흩어지지 않게 할 수 있는가? '

'혼백을 하나로 감싸않고 떨어져 나거지 않게 할 수 있겠는가?

'땅의 형체를 한 몸에 싣고 하늘의 하나를 껴안는다. 그것이 떠나지 않게 할 수 있는가? (도올) '
'몸을 이고 하나를 껴안되 능히 떨어짐이 없겠는가'

 

專氣致柔(전기치유) 能嬰兒乎(능영아호)

 

이 귀절에서는 '專氣(전기)' 의 해석에 골머리를 썪여야 한다. 專을 '오로지' 로, '氣'를 몸의 기운, 혈기로 번역하여, '오로지 혈기를 부드러움에 이르게 하여, 능히 영아처럼 (부드럽게) 할 수 있겠는가? ' 로 번역해도 무리가 없을 듯 쉽다.

 

하지만, 專氣(전기)는 음양오행설에 의하면, '격국용신의 역량이 극히 왕성한 것' 을 말한다. 이는 '정신과 육체를 강건하고 왕성하게 하는 기'를 말한다라고 설명이 된다. 옛사람들이, 불교는 명심(明心), 도가(道家)는 전기(專氣), 유가(儒家)는 심기(心氣)로 보았고, 삼재(三才) 중 천재(天才)는 주양(主陽), 지재(地才)는 주음(主陰), 인재(人才)는 이의(二義)를 포함하였으므로 취하고 버릴 것이 없음을 주장했다.  

 

이 때의 전기(專氣)는 음양오행이론에, '격국용신(格局用神)의 역량이 극히 왕성한 것' 인데, 노자시대에, 음양오행이론이 일반화 되었던 것인지, 아닌지 모르지만, 그 정신적 개념은 일반화 되어 있었을  것이다.  그래서 專氣(전기)라는 단어가 씌여지지 않았나 생각한다.(이 부분은 고증이 필요한 대목이다)

 

그래서, 나는 專氣(전기)를 단순히 자귀대로, '오롯한 혈기' 나 '오롯한 기운'으로 번역하기 보다는 앞서와 같이 해석하고자 한다.

 

이렇게 보면, 앞선 문장은 '도'의 작용원리인 '덕'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 것 중의 일부로, 모양을 달리 했어도, 영백(營魄), 전기(專氣)가 '정신과 육체' 은 운용에 관한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다른 이들의 해석을 보자,

 

'기운을 고르게 하여 부드러움에 이르되 능히 어린아이처럼 될 수 있겠는가'

'기를 집중시켜 부드러움을 이루어 간난아기가 될 수 있는가?'

'생명의 기운을 고스란히 받아, 부드러움이 지극하여 간난아이같이 될 수 없는가?

'정기를 오로지 하고, 유연한 자세를 이루어,진실로 영아가 될 것인가?'

 

남의 해석에 토를 다는 것은 뭣하지만, 전기(專氣)의 전(專) 자와 과, 기(氣)를 너무 字句대로 해석한 것 같다. 아마도, 이 귀절을 근거로 도교신앙의 '反老還童 즉, 수양이 극고하면 어린애로 돌아간다' 는 개념이 나왔지 싶다.

 

滌除玄覽(척제현람) 能無疵乎(능무자호)

 

이 귀절은  '玄覽(현람)을  갈고 딲아, 허물을 남기지 말게 하라는 것이다'. '玄覽(현람)'은 '사물의 본질, 진상을 깨뚫어 보는 능력'이다,

 

다른 이들의 번역을 보자,

 

'가믈한 거울을 깨끗이 씻어 티없이 할 수 있겟는가?'

'씻고 털어내 맑은 거울처럼 마음에서 때를 벗겨낼 수 없겠는가?'

'마음속을 깨끗이하여 흠이 없이 하겠는가?'

 

'玄覽' 을 玄鑑(현감) 즉,  '현묘(玄妙)한 거울' 로 착각하여 번역한 것이 아닌지 모르겠다. 거기다 한발 더나가 '가믈한 거울' 은 또 무엇이냐?  해석이라는 게 무엇인가? 설명의 대상보다 조금은 더 알기 쉽고,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 아닌가? 원본보다 더 모르는(인터넷 사전에도 없는) '가믈한' 이란 단어까지 덮어씌워  왜곡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玄覽은 굳이 의미를 갖다 붙이자고 하면, ' 마음을 비쳐보는 玄鑑' 이라 할 수 도 있겠지만, 고전을 번역하고 해석하는 데, 시를 써서는 곤란하지 않겠는가? 아무리 다양성을 존중하지만, 시를 써듯 자기 상상력을 번역이라 우기긴다면?

 

愛民治國(애민치국) 能無爲乎(능무위호)

 

'백성을 사랑하고 나라를 다스림에, 능히 억지로 다스이 없이 자연스럽게, 할수 있겠는가? ' 이 문장은 대체적으로 유사하고 논란이 적다. 유일하게 논란이 있을 수 있는 단어가 '無爲' 즉, '위함이 없다' 인데, 이것의  앞서 누차 언급되었기 때문에 생소하지 않는 것이다.

 

다른 이의 해석을 보자,

 

'백성을 사랑하고 나라를 다스림에 앎으로써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도올)'

'백성을 사랑하고 나라를 다스림에 知에 의존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이경숙)'

 

天門開闔(천문개합) 能無雌乎(능무자호)

 

문제는 이 句節 '天門開闔(천문개합) 能無雌乎(능무자호)'이다. 이것을 字句대로 번역하면,

 

'하늘의 문을 열고 닫는 데,,  능히 암컷에 의지하지 않고 하겠는가?'

 

하늘의 문을 열고 닫는다'는 게 무슨 뜻인가?  또, 암컷에 의지하지 않고 하겠는가 '能無雌乎'는 이대로는 해석이 난해하여 왕필본이나 하상공(河上公)본에서 '能爲雌乎'로 정정하고 있다.

 

주) *  하상공(河上公) : 전한 시대 사람. 이름은 전하지 않으나, 도덕경을 노자를 깊이 탐구하여 註解

        (주해)한 사람

 

다른 이의 해석을 보자,

 

'하늘의 문이 열리고 닫힘에 암컷없이 되겠는가?(도올)'
  (* 도올은 '천문'을 여자의 성기로 보고 암컷이야말로 도에 가까운 존재라 봄)

'성인의 도를 행하는데 있어 배필이 없이 할 수 있겠는가?(이경숙)'

  (* 이경숙은 '천문개합'을 임금이 도를 행하는 것으로 보며 그를 위해 걸림돌이 되는 배필을 두지 말라

     는  것으로  이해함)

 

해석을 한다면서 더 어렵게 비비꼬고 있다.  무슨 해괴한 소리들인지 철학시를 써도 한참을 쓴다. 본질을 꽤뚤려보지 못한다는 증거라 생각한다.

 

'天門開闔(천문개합)' 하늘이 열리고 닫친다는 것은  하늘이 도를 본받아(天法道), 만물이  세상에 태어나게 하고, 만물이 세상을 마감하도록 하는 것 아닌가?  그것 아니면, 굳이 천지를 개합할  목적이 없는 것이다. 그러니 천지개합은 만물이 세상에 태어나게 하고 돌아가게 함이다.

 

또, 1장에, 無名天地之始(무명천지지시) 하늘과 땅, 세상의 시작은 이름을 붙일 수 없지만,  有名萬物之母(유명만물지모) 이름을 붙일 수 있는 것이 만물의 어미라 하였다. '천문개합' 에는  '만물의 암컷(어미)'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 '만물의 암컷(어미)'은  천지개합은 만물의 어머니가 없이 되겠는가? 를 묻고 있는 것이다. 그것이 도의 작용인 '덕' 이다. 즉 도의 여러 작용중, 만물의 탄생은 만물의 어미가 생성시키는 것이고 그것이 도의 작용인 덕이다라고  '덕'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하상공이 '能無雌乎' 를 '能爲雌乎'로 정정하였다는 데,  바른 정정인지? 의문이 드는 것이다.

 

그러니,  나는, 天門開闔(천문개합) 能無雌乎(능무자호)는

 

'만물을 낳고 기르는 데, 능히 만물의 어미(덕)없이 되겠는가?'로 해석하는 것이다.

 

明白四達(명백사달) 能無知乎(능무지호)

 

'사통팔달, 훤한 지혜를 가지고 있으면서 아무것도 모르는 듯 할 수 있겠는가?'

 

도덕경 全편에서 흐르는 '無爲(무위)' 思想이다. 道法自然(도법자연)이라, 이른바, '道'를 통하여 '사통팔달, 훤한 지혜를 가지고 있다하여도, 능히 道法自然(도법자연) 의 道를 본받아 아무것도 모르듯 할 수 있겠는가? 를 묻고 있는 것이다.  정말로 무지하고, 무지한 자로 남으라는 것은 아닌 것이니,  7장에 나오는 後其身而身先(후기신이신선)이라 '자신을 내세우지 않으나 나서게 되고', 外其身而身存(외기신이신존) 인 '무지한 듯 나서지 않아도, 들어나게 되는 경지'인, 無爲自然(무위자연)을 실천할 수 있겠는가? 를 묻고 있는 것이다.

 

生之畜之(생지축지) 生而不有(생이불유),  爲而不恃,(위이지시) 長而不宰(장이부재)

 

만물을 낳고 만물을 기르며, 만물을 낳지만 소유하지 않고,  위하여 했지만, 이를 뽑내지 않고  만물을 자라게 하지만, 이를 부리지(주재하지) 않는다

 

왕필의 주석에 의하면, 生之畜之, (만물을), 낳고,기르고, 生而不有,만물을 생장시키면서도 자기 소유로 하지 않고, 為而不恃 즉,만물을 육성시키면서도 자기 능력을 과시하지 않고,  他無所不為卻不自恃其能(타무소불의각불자시기능) 이라, 누가 하지 않는 바가 없으면서도 도리어 그 능함을 스스로 자랑하지 않으며, 長而不宰 즉, 만물을 자라게 하지만, 주관하지 않으니 他是萬物之主而不任意宰制(타시만물지주이불임의재제), 누가 이 만물의 주인이면서도 마음대로 전권을 잡고 처리하지 않는단 말인가?

是謂玄德

'이를 일러 현덕이라고 한다.'

 

서두에 언급하였듯이, 도덕경 全편에 걸쳐 가장 구구한 해석이 난무하는 대목이 10장이라한다.  

 

道경속에 德경의 내용이여서 그런지, '賢德'이라는 지고한 도의 운용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혼(營).魄(백), 專氣(전기), 玄覽(현람), 嬰兒(영아), 天門開闔(천문개합) 雌(자: 암컷), 무지(無知)등 생소하고 난해한 단위들이 여러 句節과 文章을 이루어 등장한다.

 

'德'을 설명하기 위한 수사적  단어나 句節이기 때문이고, 거기에다, 어떤 경우에는 본디 노자의 글이 제대로 전해졌는 지, 중간에 변경, 오류의 흔적도 보이는 바, 거듭말하지만, 字句에 너무 연연한  해석과  이를 정확하다, 아니다 구분하고 비교할 필요가 굳이 없다고 생각한다. 자기 수준만큼 이해하고 활용하면 되지 싶다.

 

하지만, 전체흐름은 노자의 사상적 흐름과 맥을 같이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전체 사상적 흐름에 벗어나거나, 흐름이 뒤죽박죽, 과장과 과잉의 해석은 경계해야 할 일이다.  대부분, 해석을 한답시고, 철학시를 짓듯 하는 데, 대부분 시의 특성처럼 얼버무리는 행태로 되기 때문에, 한가지 해석을 보면, 그 시각으로 좁아지고, 여러 해석을 보면, 뒤죽박죽, 뭐가 뭔지 모르게 산만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떻게 해석하고 활용할 것인가?  정답은 없다. 스스로 깊이 심득하는 수밖에. 이런 점을 참고로 하여, '자기 수준만큼 이해하고 활용하기를 바랄 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