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8장]
上善若水(상선약수) 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
水善利萬物而不爭(수선이만물이부쟁)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지만 다투지 않는다
處衆人之所惡 (처중인지소오) 뭇사람들이 싫어하는 곳으로 위치한다
故幾於道(고기어도) 고로 거의 도에 가깝다.
居善地 (거선지) 물처럼, 머물 때는 낮은 곳으로(善地) 머물고,
心善淵(심선연) 마음은 깊고 고요(善淵)해야 한다.
與善仁(여선인) 묵묵히 베풀어야(善仁)하고,
言善信(언선신) 말에는 신의(善信)가 있어야 한다.
政善治(정선치) 정사를 돌볼 때는 잘 다스려야(善治) 하며,
事善能(사선능) 일할 때는 능숙하게 처리(善能)해야한다
動善時(근선시) 움직일 때는 때를 잘 맞추어(善時) 움직여라
夫惟不爭 故無尤(부유부쟁 고무우) 다툼이 없으니 그러므로, 허물이 없다
주) * 幾 : 몇, 얼마, 어느 정도, 거의
* 尤 : 더욱, 한층 더,오히려, 도리어. 허물, 과실(過失), 결점(缺點)
[으뜸가는 선은 물과 같다. 물은 만물을 크게 이롭게 하면서도 다투지 않고, 뭇 사람들이 싫어하는 곳으로 처한다. 그러므로 물은 도에 가깝다. 물은 만물에 이로움을 가져다 주지만, 만물과 이익을 다투지 않는다.
물처럼, 머무는 곳(地)은 낮게 하고, 마음쓰는 것은 연못처럼, 바다처럼 깊고 고요하게 가질 것이며, 베풀 때에는 묵묵하게 물이 생명에 베풀듯이 어질게 베풀어야 하고, 말을 함에 있어서는, 신의가 있어야 하고, 政事를 돌볼 때는 아무함이 없는 듯 하면서도 하고, 해야할 때는 깨끗이 처리하여 두루 잘 다스려야 한다. 일을 할 때는 역량과 발휘하여 능숙하게 처리하고, 움직일 때는 때를 잘 알고 움직여야 한다. 그러니 물처럼 하면, 다투지 않으므로 허물이 없게 된다. ]
사람은 높은 곳으로 머물려고 하지만, 물은 낮은 곳으로만 머물려고 한다. 물은 만물을 크게 이롭게 하면서도 다투지 않고, 뭇 사람들이 싫어하는 곳에 처한다. 즉, 으뜸가는 선은 물과 같이 처신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물은 도에 가깝다.
그러니 물을 본받아라 하는 메세지다.
물이 '으뜸과는 선' 이면서, '도에 가깝다' 하는 것은 이채롭다. 비록 물이 '으뜸'가는 선이라 하여도 '도'에 이른다고 볼 수 있는 것은 아닌 것이다. '도'는 비어 있어, 아무리 채워도 넘치지 않고, 천지의 시작며 만물의 근원이지만, '도라 하면, 이미 도가 아니다'라 했듯이, 물이 상선이기는 하지만 도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도의 성질에 가깝다한 것은, 물을 '도의 이미지', '도의 상징'으로 삼고, 물을 통해 '도'를 짐작하게 하도록 비유수단을 설정한 것이다. 이런 수단은 앞서 소개된 여러 수단중 하나이고 앞으로도 계속 등장 할 것이다.
'최상의 덕(德)은 물에서 본받아라'
물의 작용 즉 물의 덕을 7가지로 구분하여, 이를 도의 작용 즉 덕을 비유한 것이 다음으로 이어진다
居善地 (거선지), 心善淵(심선연)
물의 작용은 머무는 곳(地)을 낮게 하고, 언제나, 물은 세상의 모습에 순응하며 아래로 흐르며, 한없이 낮아질 뿐이다. 무엇이 가로 막는다하여도 애써 다투지 않는다. 돌아가던가, 채워서 넘을 뿐이다. 물은 계곡으로 흘러내려 시내와 강을 이루고 마침내, 바다에 이른다. 마음가짐은 물처럼 처신하고, 연못처럼 깊고 고요하게, 겉으로는 깊은 심연처럼 흔적이 없지만,그 깊이를 헤아릴 수 없는 바다를 닮아라는 것 아니겠는가?
與善仁(여선인) 言善信(언선신)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면서도 다투지 아니하는, 이 세상에서 으뜸가는 선(善)이라 한 것이다.
대지의 70%는 물로 뒤 덮혀 있고, 인간의 몸은 70%가 물로 이루어져 있으니, 이미 인간은 물의 덕으로 신체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물은 인간 뿐만아니라, 온갖 생명을 탄생시키고 유지하며, 생명은 다시 그 다함에 이르러 물로 돌아가지만, 물은 스스로 무엇을 이루고자 함이 없고, 다툼없이 베풀 뿐이다. 그처럼, 베풀 때에는 묵묵하게 어질게 베풀어야 한다.
말을 함에 있어서는, 도도히 흐르고 넘칠 때, 넘쳐야 할 때는 거친 소리를 내지만, 잔잔할 때는 아무소리 없이 침묵한다다. 흐르는 물처럼, 막히면 그치고, 넘치면 둘러가듯이, 말을 할 때와 안할 때를 가려하고, 할 말 안할 말을 가려하며, 언제나 신의가 있어야 한다,
政善治(정선치) 事善能(사선능) 動善時(근선시)
政善治는 正善治로 쓴 글도 있으나, 문맥상 '政' 타당할 것 같다. 정사를 돌볼 때는 물처럼 아무함이 없는 듯 하면서도 하고, 해야할 때는 깨끗이 처리하며 두루 잘 다스려야 한다. 일을 할 때는 물처럼, 생명을 가꾸듯 역량과 발휘하여 능숙하게 처리하고, 움직일 때는 물처럼, 멈춰야 할 때, 흘러가야할 때를 잘 알고 움직여야 한다.
夫惟不爭 故無尤(부유부쟁 고무우)
최상의 덕(德)은 물을 본 받는 것이니, 이처럼 물을 닮으면, 물처럼, 지극히 착해지고, 만물에 이로움을 가져다 주지만, 만물과 이익을 다투지 않는다. 그리하면, 다투지 않으므로 허물이 없게 되는 것이다
'동양철학 > 老子別義(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子別義(上)_10장 是謂玄德(시위현덕) (0) | 2013.07.13 |
---|---|
老子別義(上)_9장 功遂身退(공수신퇴) (0) | 2013.07.13 |
老子別義(上)_7장_天長地久(천장지구) (0) | 2013.07.13 |
老子別義(上)_6장 谷神不死(곡신불사) (0) | 2013.07.11 |
老子別義(上)_5장 天地不仁(천지불인) (0) | 2013.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