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빛의 장막을 걷어내면, 비로소 심우주의 모습이 드러난다.
  • 與一利不若除一害, 生一事不若滅一事
동양철학/老子別義(上)

老子別義(上)_6장 谷神不死(곡신불사)

by 靑野(청야) 2013. 7. 11.
 
`
도덕경 6장

谷神不死(곡신불사) 谷神은 죽지 않는다.
是謂玄牝(시위현빈) 이를일러 玄牝이라 한다
玄牝之門(현빈지문) 玄牝의 문은
是謂天地根(시위천지근) 세상만물의 근원이다.
綿綿若存(면면약존) 끊이지 않고 이어져서
用之不勤(용지불근) 써도 다함이 없다

주) * 谷神 : 골짜기의 텅 비어 있는 곳이라는 뜻으로, 헤아릴 수 없이 깊고 미묘한 도(道)를 이르는 말
                 (네이버 백과사전)
     * 是謂 : 是(이 시, 옳을 시), 謂(이를 위: 일컫다. 가리키다, 논평하다). 이를 일러
     * 玄牝 : 새끼 낳는 암컷. 만물을 생성하는 도(道). 玄은 그 작용이 미묘하고 심오함을 나타내고,
                 牝은 암컷이 새끼를 낳듯 도가 만물을 냄을 뜻함(네이버 백과사전)
     * 綿綿  : 끊어지지 않고 이어짐
     * 若     : 같다, 이와같다.
     * 勤     : 부지런하다, 애쓰다. 보편적인 주석은 '盡(진)' 으로 해석한다


[깊고 깊은 계곡의 물은 마르지 않는다. 그 계곡을 일러 '만물을 생성하는 현묘한 암컷(어미)' 라한다. 현묘한 암컷(어미)의 문은 세상 만물이 생겨나는 근원이다. 깊고 깊은 계곡의 물이, 써도써도 다함이 없이, 끊임없이 이어지듯, 그로부터 만물이 끊임없이 생겨난다 ]

도덕경 6장은, 전체에서 가장 아름답고 절제된 언어로 시적인 영감을 불러 일으킨다해서 서구인들이 좋아하는 대목이란다. 상상은 자유라는데, 그 상상을 발휘하여 나름대로, 이해하고 해석해도 책임이 없는 것인가? 딱히 이것이다 하고 정해(正解)가 존재하기 어려운 대목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도덕경전체가 다 그러하듯, 6장은 짧지만, 특히, 여러사람들을 골 때리게 하는 장이다.
 
내 기준으로 보면, 전문가라는 사람들의  해석도 어딘가에 부자연스럽고 부족한 것 같다. 그렇다고 내기준이 정해(正解)라는 것은 아니다. 정해가 있을 수 없다는 것이 내생각이다. 나역시, 아는 만큼 받아드리는 것일 뿐, 아는 만큼, 상상할 뿐.
 
앞서, 보아왔듯이, 도덕경에는 '不尙賢(불상현)', '使民 無知無慾(사민 무지무욕'), '天地不仁(천지불인)', '橐籥(탁약)', 등 상식에 반하거나, 난해한 단어들 투성이다.
 
'谷神' 역시  그런 단어나 개념중의 하나라 생각한다. 단어풀이대로라면  대부분 사람들이 '계곡의 신'으로 번역한다. 간혹 '신이 죽지 않는 계곡'으로 번역하는 이도 있다.
 
 나는, 谷神不死를 생각하며, 얼핏 '大馬不死' 떠올린다. 이를테면, 누군가가 바둑을 전혀 모르는 사람앞에 '大馬不死'를 외쳤다고 해보자, 그 누군가는 '큰 말은 죽지 않는다,' 라고 번역하지 않겠는가?  그러면서, 해석이라고 내 놓는 게 '그런데 그 참 이상하다. 말이 죽지 않다니, 龍馬 인가, 神馬인가, 아마 大馬는 神馬인가보다' 하면서도, 꿈에도 '大馬'라는 단어가 의미하는 것이  바둑판이 놓여진 돌들이 이루는 판을 말하는 지 모를 것이다. 이런 누군가에게 '대마불사'. 운운하면, 그이를 놀리는 것에 다름 아닌 것이다. 
 
이와같이, 우리가 '道' 의 개념이나, 노자의 생각을 전혀 엿볼 수 없다면, '谷神'의 제대로 해석은 어려울 것이다. 그러니, 어쩌면 '谷神'은 바둑을 모르는 사람에게 '大馬 '만큼이나 생소할 지 모른다. 어려운 단어가 아니면서, 수천년을 여러사람들이 골을 싸매도, 그 含意는 제대로, 들어나지 않는 것이다.  
 
앞으로 계속 이런 난해한 단어들이 등장하지 싶은 데, 노자가, 이처럼, 여러곳에서 후손을 놀리고 있는 기분이 든다. 2,500년의 천재, 노자의 머리에 번득이며 떠오른 생각들을 이런 단어들로 마구 구사하여, 뱉어  논 것이, 시공을 2,500년이나 넘으면서, 여기에 무수한 사람들의 사유가 덧칠되어, 이제는 고전이 되고, 전설이 되고,  신화가 되어, 그 뜻을 캐내는 데,  여러 사람들이, 아직도 골머리를 싸매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옛사람들은 물론이고, 현대인들도 골을 싸매다 오버하는 경우도 있을 터, 노자사상에, 자기 사상을 덧칠하여 본의아니게, 본디 뜻을 왜곡한 온갖 해설이 그럴듯하게 포장되어 난무하는 경우가 허다할 것이다. 나역시 그런 부류 중의 한사람일지도 모른다. 모든 고전과 고전해설이 그렇듯이, 결국은 받아드리는 사람의 몫이다.
 
몇몇 이들의 '谷神' 에 대한 해석을 보자,

'가운데가 비었기 때문에 곡이고, 헤아릴 수 없기 때문에 신이라고 하였다(사마광,司馬光).'
'골짜기라는 것은 허(虛)를 비유한 것이다(오징,吳澄)'
'골짜기라는 것은 비유다. 허하면서도 능히 만물을 수용하고, 만물을 수용하면서도 소유하지 않으며, 미묘하고 헤
 아릴 수 없기 때문에 곡신이라고 하였다(초굉, 焦肱)'
'곡신이란 그 체〔道體〕가 허하여 수용하지 않는 것이 없으면서도 그 쓰임은 사물에 응하여 헤아릴 길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동사정, 董思靖)'
 
    *사마광(司馬光): 중국 북송(北宋) 때의 학자. 『자치통감』(資治通鑑)의 編者.
    *오징(吳澄) :원나라 때 사람. 초려선생(草廬先生), 시호는 문정(文正), 경전(經傳)에 정통한 학자
    *초굉(焦肱): 명나라 때 활동한 문학유파
    *동사정(董思靖): 남송 때 학자, 『노자』를 주석한 『도덕진경집해(道德眞經集解)』저술
 
또 있다. 아래 첫번째는 도울이 해석한 것이고, 두번째는 이경숙씨가 해석한 것이다.
 
'곡신은 죽지 않는다. [谷神不死] '
'신이 죽지 않는 계곡이 있다. [谷/神不死]'
 
내가 이 골머리 아픈 작업에 뛰어 든 여러 이유중 하나는, 결과적으로 노자가 후손들을 어떻게, 어디까지 놀리고(?) 있는지, 후손들은 어떻게 놀림을 당하고 있는지?  궁금하기 때문이며, 하늘이 본받는다는 '道'를 설명하는데, 그렇게 애를 썼던 노자가 안스럽기도 하기 때문이다.

老子는 道를, '비어 있고, 자연을 본받아 무위하다' 하고, '만물의 근원이다'는 것을 여러곳에서 반복하는 것을 볼 수 있는 데, 도를 '道可道非常道(도가도비상도)', '道沖(도충)'처럼 추상적으로 설명하기도 하며, 4장에서 도를 설명하는 중에, '淵兮 似萬物之宗(연혜 사만물지종) 즉 깊고 깊어 만물의 근본(宗)같다' 또는 '湛兮 似或存(담혜 사혹존)  즉, 맑고 맑아 뭔가 존재하는 것 같다' 는 句節이나, 5장의 '풀무(橐籥.탁약)'처럼 구체적 사물과 사물의 기능을 비유하여 설명하기도 한다, 다시말하면 道可道非常道, 道沖, 풀무통, 淵(연), 湛(담)등, '도'를 설명하기 위한 여러 정황들이 동원된 것이다.

그러므로, 곡신(谷神), 현빈(玄牝)도 그런 개념이라 보는 것이다. 곡신은 '淵(연)의 '깊고 깊은', '湛(담)의 '맑고 맑은' 의 의미와 상통하는, 그런 '깊고 깊은 계곡'을, 단순히 물리적 공간이 아니라, '道'처럼, 헤아릴 수 없는 공간, 의식의 공간으로 비유하여 擬人化(의인화)가 아닌, 擬神化(의신화)하여 부르기를 '谷神'이라 하였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공간 즉 깊고깊은 계곡이 상징하는 것은 '무한이 깊음'  '끊이지 않고 이어지는 물'  인데,  '죽지 않는다'는 것은 '끊이지 않고 이어진다'는 뜻으로, 여기서는 '물이 마르지 않고 끊임없이 흘러 나오기 정황' 을 여성의 생산 모습에 비유하고, 이것을 '道'의 개념,  '神'의 개념과 상응하고, 대비되는 '玄'을 써서, 玄妙 (현묘)한 암컷(牝.빈) 이라 해석하는 것이다. 

그러니, 현빈은 그냥 암컷이 아니라, '세상만물을 낳는 어머니'로, 그 어미의 문은 만물이 생겨나는 근원이라 한 것이다,  마치 '깊고 깊은 계곡'의 문으로, 면면히 물이 흘러나와 아무리 써도 다함이 없듯이, 그 문으로부터 만물이 끊임없이 생겨난다는 것이다.
 
어쨋튼, 노자가, 고도의 은유와 함의를 담은 어려운 용어만을 틈틈히 골라 쓰고, 쓸 수밖에 없었던 것은, 이처럼,  人爲나 有爲함없이 無爲함 그대로의 상태, 즉, 道의 모습이나 道의 작용을 여러각도에서, 여러방법으로  설명하고자 한  것일 터이니, 그렇게 애를 썼던 노자가 안스러우면 안스럽지, '대마불사'가 바둑을 모르는 후세들에게, 생경(生硬)하듯이, 그렇게 생경하다고,  어찌 성인을  탓하랴?  
 
도덕경을 올바로 해석하는 일이나, 老子本義를 구하기 위해, 동서고금에서 여러 성현들이, 도덕경과 씨름하여 왔고,  그 결과 온갖 번역과 해설이 난무하여 왔지만,  앞으로도, 그 일은 그야말로, 綿綿若存 (면면약존) 할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