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2장]
天下皆知美之爲美(천하개지미지위미) 세상 모두 아름다움을 아름답다라고 아는 것,
斯惡已(사오이) 이것(斯)은 이미(已) 추함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皆知善之爲善(개지선지위선) 모두 착한 것을 착한 것으로 아는 것,
斯不善已(사불선이) 이것은 이미 착하지 않는 것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故有無相生(고유무상생) 그러므로, 있고 없고는 상대적으로 생기는 것이다
難易相成(난이상성) 어렵고 쉬운 것도 상대적으로 성립하는 것이다.
長短相較(장단상교) 길고 짧음은 서로 비교함으로서 생기는 것이다,
高下相傾(고하상경) 높고 낮음은 서로 기울임으로써 생기는 것이다.
音聲相和(음성상화) 음과 성은 서로 조화를 이루고,
前後相隨(전후상수) 앞과 뒤는 서로 앞서거니 뒷서거니 한다.
是以聖人處無爲之事(성인처무지위사) 그러므로(是以) 성인은 함이 없듯 일(無爲之事)을 처리하고
行不言之敎(행불언지교) 말없는 가르침(不言之敎)을 행한다.
萬物作焉而不辭(만물작언이불사) 만물을 생겨나게 했지만, 굳이 자랑함이 없다.
生而不有(생이불유) 생기게 하되 소유하지 않으며
爲而不恃(위이불시) 그것에 기대려 하지도 않는다.
功成而弗居(공성이불거) 功을 세웠지만 그 功에 을 머물음이 없다. 즉 내세우지 않는다.
夫唯不居(부유불거) (功에) 머물음이 없으니
是以不去(시이불거) 사라질 것(功)도 없다
주) *惡 : 악할 악, 미워할 오, 악하다, 나쁘다, 추하다의 뜻, 여기서는 美에 대비되는 醜(추)의 뜻
*是以 : 그러므로
*焉而 : 어조사 焉(언), 말이을 而(이)
[아름다운 것은 상대적이다. 추함이 있기 때문에 대비되는 것이 아름다운 것이다. 추함도 역시 마찬가지다. 추함이 없다면 아름다움도 빛을 발하지 못한다. 착한 것과 착하지 않는 것도 이와 같아, 착하지 않는 것이 있기 때문에 착함이 드러나는 것이다.
고로 있고(有) 없고(無)는 상대적으로 생기는 것이다. 이런 것에는 '어려운 것과 쉬운 것', '높고 낮음', '길고 짧음'도 상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또, 음.성은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하고, 앞과 뒤 역시 상대적으로 존재한다.
그래서, 성인(자연과 하나된 사람)은 이 도리를 알기 때문에 無爲之事 즉, 아무 하는 바 없이 모든 것을 하고, 不言之敎, 즉, 말없는 가르침, 다시말하면, 사람의 말로 표현하는 가르침이 아니라, 무위자연의 가르침을 행한다. 이는 자연이, 그저 있는 그대로 보여줌으로써, 무언의 가르침이 되듯이 성인도 자연처럼 그렇게 따라 행할 뿐이다. 無爲의 말없는 가르침이란, 이런 것이다. 즉, 만물을 생겨나게 했지만, 그것을 굳이 내세우지 않고, 소유하지 않고, 그것에 기대려 하지 않고, 功을 세웠지만, 그것에 머무르지 않는다( (弗居)). 즉 내세우지 않는다. 그러므로 功에 내세움이 없으니, 사라질 功도 없다. ]
도덕경은 全편에 걸쳐 道와 德에 관해 설명하고 있는 데, 일부 직접적인 정의나 설명이 있지만, 대부분 여러 대립되는 개념을 대비하여, 깨달음을 스스로 얻도록 유도하고 있다. 만물이 존재하는 개념(道), 만물의 작용(德)을 상대론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도덕경 2장도 마찬 가지다. 이를 일러, '相對論'이라 할 만하다.
일상생활의 지혜나 논리학에서의 '인과관계'뿐만아니라, 불교의 연기사상에서도 사물의 존재와 존재를 있게 하는 원인, 그 결과물을 설명하는 데, 相對論 개념을 엿볼 수 있다. 또, 이른바, 아인타인의 '相對性 理論' 은 말 그대로 물체와 속도에 관련되어서는 '相對論' 의 백미라 할 것이다
'실제 세계에서의 존재나 사건에는 반드시 그것을 발생시키는 근거가 있다' 는 논리학의 인과관계는 불교의 핵심사상이기도 하다. 원인과 결과는 서로 물고 물리고, 삼라만상 중 홀로 존재하는 것은 아무 것도 없고, 서로서로 관계를 가지면서 존재한다고 하는 緣起思想으로 확장된다.
이것이 있음으로 말미암아,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김으로 말미암아, 저것이 생긴다.
이것이 없음으로 말미암아, 저것이 없고,
이것이 사라짐으로 말미암아, 저것이 사라진다.
태어나는 것도 우연이 아니고, 주위의 여러 이웃과 인연(관계를 맺는 것)도 우연이 아니다. 그 인연이란 자기 주변에서 부터, 넓게는 우주만물이 緣起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불교의 緣起思想이다
도덕경 2장에서는 사물의 연결관계는 불가의 연기사상 못지않게 심오하다. 하지만, 연기사상 보다 훨씬 간명하게 개념을 처리하고 있다. '이것', '저것' 이 무엇인지, 무엇이 원인이고, 무엇이 결과인지, 그 자체를 굳이 이를 설명하지 않는다. 대신에 대립되는 상호관계를 설명함으로써, 그 개념을 설명한다.
물체와 움직임(속도)은 존재의 대표적인 형태이며, 물체가 없는 우주, 움직이 없는 우주는 물리세계에서는 성립할 수가 없다. 물체와 움직임은 가히 물리세계의 어머니, 물리세계의 본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물리세계의 본질이라 할 수 있는 물체와 속도사이에 발생하는 물리현상을 바탕으로 전체 물질계의 상대적 작용을 설명하는 것이 아인시타인의 '상대성이론' 이다.
달리는 물체에 탄사람과 정지한 물체에 있는 사람이 서로를 바라본다면, 어떻겠는가? 자기는 정지하고 있는 데, 상대가 다가 오거나 멀어져간다고 생각할 것이다.
빠르고 느림도 상호 의존적이고, 비교됨으로서 성립하는 상대론적 개념이다. 무엇이 빠르고 무엇이 느리냐?. 빠른 것이 있기 때문에 느린 것이 생기는 것이고, 그 반대 역시 마찬가지다. 한없이 느려지면 그것이 정지한 것처럼 보일 것이다. 또 달리는 물체라도, 만약에 상대가 없다면, 자신이 달린다는 것을 느끼지 못할 것이다.
우리가 가만히 있는 것처럼 보여도, 우리를 담고 있는 지구는 초속 약 30km로 열심히 태양주위를 공전한다, 태양과 행성들이 이루는 태양계는 은하계를 초속 약 220km로 공전하고, 은하계는 은하단을 회전한다. 우주전체는 끊임없이 확장을 계속하며 포함된 여러 작은 계(系)들의 움직임에 지속적인 동력을 제공한다.
고로 있고(有) 없고(無)는 상대적으로 생기는 것이다. 이런 것에는 '어려운 것과 쉬운 것', '높고 낮음', '길고 짧음'도 상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또, 음.성은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하고, 앞과 뒤 역시 상대적으로 존재한다.
그래서, 성인(자연과 하나된 사람)은 이 도리를 알기 때문에 無爲之事 즉, 아무 하는 바 없이 모든 것을 하고, 不言之敎, 즉, 말없는 가르침, 다시말하면, 사람의 말로 표현하는 가르침이 아니라, 무위자연의 가르침을 행한다. 이는 자연이, 그저 있는 그대로 보여줌으로써, 무언의 가르침이 되듯이 성인도 자연처럼 그렇게 따라 행할 뿐이다. 無爲의 말없는 가르침이란, 이런 것이다. 즉, 만물을 생겨나게 했지만, 그것을 굳이 내세우지 않고, 소유하지 않고, 그것에 기대려 하지 않고, 功을 세웠지만, 그것에 머무르지 않는다( (弗居)). 즉 내세우지 않는다. 그러므로 功에 내세움이 없으니, 사라질 功도 없다. ]
도덕경은 全편에 걸쳐 道와 德에 관해 설명하고 있는 데, 일부 직접적인 정의나 설명이 있지만, 대부분 여러 대립되는 개념을 대비하여, 깨달음을 스스로 얻도록 유도하고 있다. 만물이 존재하는 개념(道), 만물의 작용(德)을 상대론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도덕경 2장도 마찬 가지다. 이를 일러, '相對論'이라 할 만하다.
일상생활의 지혜나 논리학에서의 '인과관계'뿐만아니라, 불교의 연기사상에서도 사물의 존재와 존재를 있게 하는 원인, 그 결과물을 설명하는 데, 相對論 개념을 엿볼 수 있다. 또, 이른바, 아인타인의 '相對性 理論' 은 말 그대로 물체와 속도에 관련되어서는 '相對論' 의 백미라 할 것이다
'실제 세계에서의 존재나 사건에는 반드시 그것을 발생시키는 근거가 있다' 는 논리학의 인과관계는 불교의 핵심사상이기도 하다. 원인과 결과는 서로 물고 물리고, 삼라만상 중 홀로 존재하는 것은 아무 것도 없고, 서로서로 관계를 가지면서 존재한다고 하는 緣起思想으로 확장된다.
이것이 있음으로 말미암아,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김으로 말미암아, 저것이 생긴다.
이것이 없음으로 말미암아, 저것이 없고,
이것이 사라짐으로 말미암아, 저것이 사라진다.
태어나는 것도 우연이 아니고, 주위의 여러 이웃과 인연(관계를 맺는 것)도 우연이 아니다. 그 인연이란 자기 주변에서 부터, 넓게는 우주만물이 緣起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불교의 緣起思想이다
도덕경 2장에서는 사물의 연결관계는 불가의 연기사상 못지않게 심오하다. 하지만, 연기사상 보다 훨씬 간명하게 개념을 처리하고 있다. '이것', '저것' 이 무엇인지, 무엇이 원인이고, 무엇이 결과인지, 그 자체를 굳이 이를 설명하지 않는다. 대신에 대립되는 상호관계를 설명함으로써, 그 개념을 설명한다.
물체와 움직임(속도)은 존재의 대표적인 형태이며, 물체가 없는 우주, 움직이 없는 우주는 물리세계에서는 성립할 수가 없다. 물체와 움직임은 가히 물리세계의 어머니, 물리세계의 본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물리세계의 본질이라 할 수 있는 물체와 속도사이에 발생하는 물리현상을 바탕으로 전체 물질계의 상대적 작용을 설명하는 것이 아인시타인의 '상대성이론' 이다.
달리는 물체에 탄사람과 정지한 물체에 있는 사람이 서로를 바라본다면, 어떻겠는가? 자기는 정지하고 있는 데, 상대가 다가 오거나 멀어져간다고 생각할 것이다.
빠르고 느림도 상호 의존적이고, 비교됨으로서 성립하는 상대론적 개념이다. 무엇이 빠르고 무엇이 느리냐?. 빠른 것이 있기 때문에 느린 것이 생기는 것이고, 그 반대 역시 마찬가지다. 한없이 느려지면 그것이 정지한 것처럼 보일 것이다. 또 달리는 물체라도, 만약에 상대가 없다면, 자신이 달린다는 것을 느끼지 못할 것이다.
우리가 가만히 있는 것처럼 보여도, 우리를 담고 있는 지구는 초속 약 30km로 열심히 태양주위를 공전한다, 태양과 행성들이 이루는 태양계는 은하계를 초속 약 220km로 공전하고, 은하계는 은하단을 회전한다. 우주전체는 끊임없이 확장을 계속하며 포함된 여러 작은 계(系)들의 움직임에 지속적인 동력을 제공한다.
도덕경 2장의 상대론 개념 역시, 달리는 것과 정지한 것을 상대적으로 보는 것은 마찬가지만, 아인시타인의 상대성이론 보다, 훨신 근본적이고 근원적으로 확장된 화두를 제시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왜냐하면, 長과短, 高와底,前과 後등 물리세계의 현상 뿐만아니라, 美와 醜, 善과 不善. 어렵고(難) 쉬운 것(易), 有와 無의 개념등, 의식세계의 작용, 즉, 만물이 존재하는 개념(道), 만물의 작용(德)을 인간이 행하는 처신과 도리까지 연결하고 확장하기 때문이다.
聖人處無爲之事(성인처무지위사) 성인은 함이 없듯 일(無爲之事)을 처리하고
行不言之敎(행불언지교) 말없는 가르침(不言之敎)을 행한다
길고 짧음을 예로 들어보자,
'長短相較(장단상교) 길고 짧음은 서로 비교함으로서 생기는 것이다'
어떤 물체가 홀로 존재하면, 이것에 길고 짧다는 말이 성립하지 않는다. 여기에서는 길고 짧음이 존재하지 않는 '무(無)', 공(空)'아니겠는가? 하지만, 물건이 복수가 되면, 비로소, 두 물건의 비교가 발생하고, 차이가 나타난다. 즉, 이 때, 無나 空은 길고 짧음의 有로 바뀐다. 故로 有無相生(유무상생), 그러므로, 있고 없고는 상대적으로 생기는 것이다
하지만,도덕경 2장에서는 相對論 으로 자연현상, 의식과 그 작용을 말하지, 그 현상에 대해 구체적이고, 定意的 설명이 없다,
이를테면, 긴 것은 짧은 것이 있어 비교되기 때문에 짧다고 하는 것이고, 짧은 것은 긴 것이 있어 비교대상이 되기 때문에 길다고 말할 뿐이다.'長과 短' 그 자체의 정의를 내리지 않고 있는 것이다.
'길고 짧다는 것이 무엇이겠는가?'
'무엇이 긴 것이고, 무엇이 짧은 것인가?',
'그 판단의 기준은 무엇인가? '
굳이 聖人이 언급하지 않은 정의를 내리고자 하는 우를 범하자면, 도덕경 전편을 읽어 보든지, 어쩌면, 읽어 보지 않아도, 노자의 그 뜻을 짐작할 수 있지 싶다.
美와醜, 善과 不善, 難과易,高와 底, 前과 後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즉, 아름답고, 추함, 선하고 선하지 않음, 높고 낮음, 전과 후등에 대해서도 相對論 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그 자체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다. 어디 美와醜, 善과 不善, 難과易,高와 底, 前과 後등에 국한하겠는가? 이것들은 모든 사물,현상의 상대적 개념을 대표하는 것일 뿐이다.
노자는 도덕경 2장을 통해, 美와醜, 善과 不善, 難과易,高와 底, 前과 後등 뿐만아니라, 나아가, 공간적, 시간적 개념, 존재와 비존재, 유와 무의 개념, 만물, 우주, 대자연을 대상으로, '相對論' 적 관점으로 이해하라는 것을 말하고 싶은 것이다.
聖人處無爲之事(성인처무지위사) 성인은 함이 없듯 일(無爲之事)을 처리하고
行不言之敎(행불언지교) 말없는 가르침(不言之敎)을 행한다
길고 짧음을 예로 들어보자,
'長短相較(장단상교) 길고 짧음은 서로 비교함으로서 생기는 것이다'
어떤 물체가 홀로 존재하면, 이것에 길고 짧다는 말이 성립하지 않는다. 여기에서는 길고 짧음이 존재하지 않는 '무(無)', 공(空)'아니겠는가? 하지만, 물건이 복수가 되면, 비로소, 두 물건의 비교가 발생하고, 차이가 나타난다. 즉, 이 때, 無나 空은 길고 짧음의 有로 바뀐다. 故로 有無相生(유무상생), 그러므로, 있고 없고는 상대적으로 생기는 것이다
하지만,도덕경 2장에서는 相對論 으로 자연현상, 의식과 그 작용을 말하지, 그 현상에 대해 구체적이고, 定意的 설명이 없다,
이를테면, 긴 것은 짧은 것이 있어 비교되기 때문에 짧다고 하는 것이고, 짧은 것은 긴 것이 있어 비교대상이 되기 때문에 길다고 말할 뿐이다.'長과 短' 그 자체의 정의를 내리지 않고 있는 것이다.
'길고 짧다는 것이 무엇이겠는가?'
'무엇이 긴 것이고, 무엇이 짧은 것인가?',
'그 판단의 기준은 무엇인가? '
굳이 聖人이 언급하지 않은 정의를 내리고자 하는 우를 범하자면, 도덕경 전편을 읽어 보든지, 어쩌면, 읽어 보지 않아도, 노자의 그 뜻을 짐작할 수 있지 싶다.
美와醜, 善과 不善, 難과易,高와 底, 前과 後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즉, 아름답고, 추함, 선하고 선하지 않음, 높고 낮음, 전과 후등에 대해서도 相對論 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그 자체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다. 어디 美와醜, 善과 不善, 難과易,高와 底, 前과 後등에 국한하겠는가? 이것들은 모든 사물,현상의 상대적 개념을 대표하는 것일 뿐이다.
노자는 도덕경 2장을 통해, 美와醜, 善과 不善, 難과易,高와 底, 前과 後등 뿐만아니라, 나아가, 공간적, 시간적 개념, 존재와 비존재, 유와 무의 개념, 만물, 우주, 대자연을 대상으로, '相對論' 적 관점으로 이해하라는 것을 말하고 싶은 것이다.
또한, 그 도리를 성인은 함이 없듯 일(無爲之事)을 처리하고 말없는 가르침(不言之敎)으로 행한다.
이는 마치 自然이, 만물을 생겨나게 했지만, 굳이 자랑함이 없고, 생기게 하되 소유하지 않으며, 그것에 기대려 하지도 않는 것과 같다. 만물을 이룬 功을 세웠지만 그 功에 머물음(내세움)이 않는다. 머물음이 없으니 사라질 것(功)도 없다. 그것이 '無爲自然', 자연의 無爲를 본받는 것이고 말하고 싶은 것이다.
'동양철학 > 老子別義(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子別義(上)_5장 天地不仁(천지불인) (0) | 2013.07.07 |
---|---|
老子別義(上)_4장 和光同塵(화광동진) (0) | 2013.07.07 |
老子別義(上)_3장 則無不治(칙무불치) (0) | 2013.07.07 |
老子別義(上)_1장 天地之始(천지지시) (0) | 2013.07.02 |
老子別義_序文 (0) | 2013.07.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