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blog.naver.com/gkatjra/222379891449
안토니오 가우디(Antoni Gaudi)
안토니오 가우디 이 코르 네트(카탈루냐어: Antoni Gaudí i Cornet, 1852년 6월 25일 ~ 1926년 6월 10일)은 스페인 카탈루냐 지역의 건축가이다. 기록된 그의 본명은 안토니 플라 시트 길롐 가우디 이 코르 네트(Antoni Plàcid Guillem Gaudí i Cornet)이다. 아버지 쪽 가문은 프랑스계의 가우디 집안이고, 어머니 쪽이 코르네 가문이다. 안토니라는 이름은 그의 어머니의 것을 물려받은 것이다. 74세를 살았으니 당시로서는 단명한 것은 아니나, 젊어서 가족의 대부분을 잃었다고 전해진다.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밀라 주택, 카사 바트요, 구엘 저택, 구엘 공원,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 등을 설계했다. 19세기 말 카탈루냐 지역에는 사회적, 문화적으로 대단한 변화가 있었다. 가우디는 당시 카탈루냐 건축을 주도했던 고전주의 건축을 벗어나, 건조한 기하학 만이 강조된 건축이 아닌 나무, 하늘, 구름, 바람, 식물, 곤충 등 자연의 사물들을 관찰했고, 그런 형태들의 가능성에 관하여 진지하게 고민했다. 그 결과 그의 건축물은 기하학적인 형태들 외에도 곡선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내부 장식과 색, 빛이 조화를 이룬 건물들을 건축했다
.
.
.
.
안토니오 가우디(Antoni Gaudi)의 건축 작품 중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것은 현재까지 모두 7 작품이다.
1.비센스 주택 (1878-1880) 2. 구엘 저택 (1885-1889) 3. 구엘 공장단지 내 지하 경당 (1898-1914) 4. 구엘 공원 (1900-1914)
5. 카사 바트요 (1904-1906) 6. 밀라 주택 (1905-1910) 7. 성가족성당 탄생 입면 및 지하 경당 (1884-1926)
.
.
.
안토니오 가우디(Antoni Gaudi) 만큼 많은 작품을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올린 사람은 없다.
"나는 직각을 금지하고 싶다"
이 말을 한 사람은 역사상 가장 뛰어난 10인의 건축가 중 한 명인 미스 반데어 로에(Mies van der Rohe)의 조수였던
필립 존슨(Philip Johnson)이다.
이는 "내가 영감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한 건축가는 안토니오 가우디(Antoni Gaudi)이다."라는 그의 말에서 비롯된 생각이다.
또한, 우리는 이 북미 건축가가 자기 자신을 정의하는 수식어들을 가우디에게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나는 도발자이자 좋은 건축가이며, 남들과는 다르고 새롭다."
.
.
안토니오 가우디(Antoni Gaudi) - "직선은 인간의 것이고, 곡선은 신의 것이다."
“이 세상에는 수직인 기둥 하나 존재하지 않는다. 자연의 섭리는 기울어지라고 요구한다. 단지 어디까지 기울어지는 것을 수용할 수 있는지 연구하는 것이 필요할 뿐이다.”
"형태가 완벽할 때, 형태는 그 모습 그대로 이해되기 때문에 장식이 필요 없다. 장식은 독창적이지 않은 양식들, 곧 다른 데서 파생한 형식에서나 중요하다."
.
.
이러한 가우디의 유명한 말들로 가우디가 어떠한 것에 미학적인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는지, 건축이라는 예술을 바라볼 때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보이는 구절들이었다.
나는 마지막 구절이 가장 인상 깊었고, 이것을 내가 앞으로 어떻게 건축을 해 가야 하는지에 갈피가 잡히게 되는 구절이었던 것 같다.
나는 2020년에 '부산 시립 미술관'에서 운 좋게도 바우하우스(Bauhaus)의 가구들이 전시되어 있는 시기를 맞춰 관람을 하러 갔었는데,
그곳에서 가우디의 구절 중 "형태가 완벽할 때, 형태는 그 모습 그대로 이해되기 때문에 장식이 필요 없다. 장식은 독창적이지 않은 양식들, 곧 다른 데서 파생한 형식에서나 중요하다."라는 구절을 읽었었는데, 그 당시엔 나이도 어렸고 여러 정보들이 나한테 많지 않아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 되었는데, 이번 "예술적 상상력 보이는 것 너머를 보는 힘"이라는 책을 읽고 예술에 대한 나의 생각과 지식들을 더욱 얻게 되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다시 가우디를 대표하는 건축물을 살펴보자.
.
.
가우디도 과도한 장식이 본래의 모습을 잃게 만든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런 예술 정신으로 훗날 가우디는 자연을 닮은 건축물들을 설계하고 지었다.
예술이라는 단어의 근원을 찾아가면 테크놀리지가 나온다는 점을 살펴봤는데, 기계도 역시 장식을 거부한다.
지금까지 내가 말한 내용을 바탕으로 가우디가 설계한 고급 주택, 6. 밀라 주택 (1905-1910)에 대하여 알아보자.
카사 밀라(Casa Milà)
이 건축물은 워낙 기발하고 독특해 한 번쯤 꼭 들러볼 만한 세계적 명소로 자리 잡았다. 실제 스페인을 찾는 관광객들에겐 필수 코스나 다름없어서 '바르셀로나는 가우디가 먹여 살린다'라는 우스갯소리가 생겨나기도 했다.
위에 사진에서도 보았듯이 이러한 곡선을 많이 사용하는 가우디는 어릴 때부터 폐병과 관절염으로 고생했던 가우디는 노새의 등에 업혀 등교할 정도로 허약했다. 몸이 불편하다 보니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았고 인간을 둘러싼 자연의 아름다움에도 주목하게 되었다.
자연의 곡선미와 섬세함에 매료된 가우디의 생각이 반영되면서 일반적인 직선 형태가 아닌 곡선 형태의 건물들이 탄생한 것이다.
카사 밀라의 각 층은 네 가구로 나워 져 있다.
가우디의 곡선을 대표하는 건축 중 하나가 '카사 밀라(Casa Milà)'이다.
가우디가 바르셀로나 사업가인 로제르 세지 몬 데 밀라의 의뢰를 받아 지은 연면적 약 1만 584㎡, 지상 8층(중간층 포함) 짜리 연립주택이다. 그가 맡은 주거 프로젝트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임대 청(1~4층)은 네 가구가 살도록 나눠져 있어 총 16 가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여러 번의 리모델링을 거친 탓에 현재는 1층 3가구, 2층 4가구, 3층 4가구, 4층 4가구로 이뤄졌다. 지상층에는 각종 상점이 입점해있다.
카사 밀라는 의뢰인 이름을 딴 ‘밀라의 집’이란 뜻이다. 밀라는 가우디의 ‘카사 바르트요(Casa Batlló)’를 보고 첫눈에 반해 가우디에게 주택 건축을 부탁했다. 1906년 착공해 1910년 완공했다.
카사 밀라는 ‘라 펫 드레라(La Pedrera ·채석장)’로도 불린다. 멀리서 건물을 보면 커다란 바위나 암벽을 깎아놓은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은 별명이다.
카사 밀라 내부 평면도(왼쪽)와 외관.
카사 밀라는 철골 구조 외부에 돌을 입히는 방식으로 지어졌다. 당대에는 최신 시공법이다. 다만 손으로 일일이 6000개 이상의 돌을 쪼아 유려한 곡선으로 만든 후 각각의 돌을 물결처럼 연결하는 작업은 매우 복잡하고 힘든 일이었다. 돌이 잘 맞춰지지 않는 부분은 일일이 갈아내야 했다.
울퉁불퉁 기묘한 외관 때문에 실용성이 없을 것 같지만 이 건물 내부에는 엘리베이터, 냉난방 시스템 등 주거에 필요한 설비가 모두 있다. 지어질 당시 바르셀로나 최초로 지하주차장을 갖추기도 했다.
돌로 만들어진 카사 밀라는 지어질 당시에는 최신식 건축물이었으나, 1930년대에 들어서며 철근 콘크리트 건축이 대세가 되면서 1960~1970년대에는 슬럼화된 상태로 방치됐다. 허름한 채로 버려져있던 카사 밀라의 가치를 알아본 카탈루냐 카이사르 은행 측이 건물을 매입해 관리하다가, 현재는 민간 공개하고 있는 부분은 카탈루냐주 소유, 임대 주택 측에 속한 각 가구는 개인 소유로 이뤄졌다.
옥상에서 내려다 본 카사 밀라의 중정
건물 안으로 들어서면 하늘로 뻥 뚫린 원형 중정이 시선을 붙든다. 카사 밀라에는 두 개의 중정이 있다.
이 중점들은 건물 곳곳에 햇빛이 스며들게 하는 역할을 한다.
재밌게도 카사 밀라에는 지금도 사람들이 살고 있기 때문에 3개 층만 관람객들에게 개방하고 있다.
다채로운 굴뚝과 조각상이 있는 옷 상층, 건물의 골격과 가우디의 건축 작품을 소개하는 박물관층, 당대 중산층에 유행하던 인테리어를 감상할 수 있는 주택 측이다.
콘크리트와 철근을 사용해 박스형 건물이 우후죽순 생겨나던 20세기 초, 정형화하지 않은 가우디의 작품은 그야말로 충격이었다. 특히 카사 밀라의 특하다 못해 괴이한 구조와 외형은 건축가들에게는 신선한 충격을 줬지만 일반인에게는 희화화되고 조롱당하는 등 극단적인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틀에 박힌 양식을 따르지 않고도 건축이 가능하다는 걸 알려줬다는 점에서 카사 밀라는 1984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될 만큼 모두에게 건축학적 의의를 인정받게 됐다. 편의상 구불구불하고 장식성이 강해 아르누보 양식으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어느 양식에도 속하지 않는 ‘신(神)의 건축’으로 불리기도 한다.
-출처: 조선일보 이지은 인턴기자-
.
.
.
카사 밀라는 사거리 모퉁이에 지어졌음에도 각이 진 모습이라곤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외관을 가지고 있다.
오히려 도로에 한 면만을 대고 있는 듯한데 이는 건물이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마치 물결이 치는 듯한 외벽을 보면 가우디가 곡선을 얼마나 잘 이용하고 이해를 완벽히 했는지 보이는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다.
"가우디는 과도한 장식이 본래의 모습을 잃게 만든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라는 말을 다시 위에서 인용하자면, 가우디의 건축물들을 보면 장식품들로 본질을 가리지 아니하고, 정말 그 형태 본질적인
것으로 사람들에게 자신의 예술성을 보여준다.
가우디의 건축 작품들은 아르누보 양식으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신의 건축'으로 불리는 것에 아무도 반박을 하지 못할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나는 평소에 예술을 정말 사랑해서 음악, 미술, 건축, 패션에 대한 정보를 보통 책에서 알게 되거나 직접 내가 경험을 해서
나만의 생각과 나만의 취향을 갖춰가고 있다.
안토니오 가우디를 평소에는 잘 알지 못하고, 그냥 나에게 지나쳐가는 건축가 중 한 명이었으나, 이번 기회로 안토니오 가우디에 대한 많은 정보와 어떠한 사람인지를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서양 건축사를 알면 알수록 아시아의 건축과는 차이가 확실히 있다는 것을 더욱 자세히 알게 되는 것 같다.
"가우디도 과도한 장식이 본래의 모습을 잃게 만든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라는 말에서 최소 나한테 사는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문장이 아닐까 싶다.
미니멀리즘이라는 사상이 현대에 들어와서 사람들에게 많이 노출되어 가고 있어 의류나 건축 등 정말 많은 곳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나 또한 미니멀리즘의 사상에 대해 다큐멘터리나, 책을 많이 읽고 있고 실천을 하도록 여러 번 시도를 하였지만
역시 어려운 사상인 것 같다.
어쩌면 이러한 미니멀리즘은 가우디의 예술정신에도 들어가 있는 게 아닐까 싶다.
가우디의 건축 방식은 자연의 형태를 가져와 재해석하여 설계를 하는 것인데, 자연의 형태에선 장식이라는 게 없지 않은가.
앞으로 나의 건축방식이나 옷을 고를 때 가우디의 건축 방식을 생각하며 시도해보는 것이 어떨까 싶다.
'철학.에세이.한시.기타자료 > 유익한 글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쇼라즈니쉬의 명언모음 (0) | 2021.12.22 |
---|---|
UG 크리슈나 무르티 (0) | 2021.12.22 |
푸틴의 경고 (0) | 2021.10.27 |
13월의 보름달 (0) | 2021.10.27 |
회문소수(回文 素數) (0) | 2021.10.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