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
---|---|
다중우주. <출처: (CC)Silver Spoon at Wikipedia.org>
|
|
테그마크 교수의 분류법에 모든 학자들이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나온 [멀티 유니버스]의 저자인 브라이언 그린(Brian Greene, 1963~) 미국 컬럼비아대 물리학과 교수는 이 분류를 사용하지 않았다. 하지만 저서에서 소개된 다중우주의 순서는 4단계 우주와 거의 비슷하다.
|
관측 가능한 우주 범위 밖에서 우주가 멈춘다는 증거는 없다. 이런 우주가 하나하나의 우주를 구성한다고 보면 전체가 다중우주를 이룬다.
|
|
[비판과 한계] ‘무한’은 쉽지 않다
|
|
영원한 인플레이션 다중우주는 두 가지 형태로 묘사된다. 첫 번째는 영원한 인플레이션 이론을 처음 제시한
안드레이 린데 미국 스탠퍼드대 물리학과 교수가 묘사한 포도송이 모양이다. 오늘날에는 테그마크 교수가 ‘빵 속 기포’라고 묘사한 형태로도 많이 표현된다.
|
[아이디어] 인플레이션이 영원히 계속된다면?
|
|
|
[등장] 끊임없이 ‘새끼 우주’가 태어난다
|
|
|
'인플레이션 다중우주'는 '버블우주', '주머니우주', 또는 모양을 빗대어 '스위스 치즈 우주'라고도 부른다.
4. 양자 다중세계 - 3단계 다중우주
랜드스케이프 다중우주
'랜드스케이프 다중우주'는 번역어가 통일되어 있지 않다. 랜드스케이프(landscape)를 '풍경'이라고 번역하기도 하고 '경관'이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양자역학의 ‘다세계 해석’에 따르면, 우주는 양자의 파동함수에 따라 끊임없이 갈라진다. 하나하나의 우주가 다중우주를 구성한다.
|
|
|
|
|
|
6. 주기적 다중우주 - 끈이론
주기적 다중우주.
|
브레인 충돌 다중우주. 우리 우주가 끈이론의 고차원 시공간을 떠다니는 3차원 공간(브레인)이라고 보고, 근처에 있는 다른 브레인(평행한 다중우주)과
주기적으로 충돌을 일으킨다고 보는 가설이다. 이 그림에서는 우리가 볼 수 있는 공간(3차원)에서 묘사하기 위해 브레인을 2차원 평면으로 묘사했다.
|
|
[비판과 한계] 관측을 통해 검증할 수 있을까
|
|
7. 랜드스케이프 다중우주 - 끈이론
|
|
|
|
우주상수의 범위 예. 그래프에서 주변장(field)보다 상대적으로 값이 낮은 곳은 안정된 곳이기 때문에 모두 우주가 생성될 가능성이 있다. 우리 우주의 우주상수는 이 가운데 0보다 약간 큰 지점에 위치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끈이론에서 계산한 값은 대부분 음수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양수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우주상수가 음수인 우주는 팽창하지 못하고 쪼그라들어 오늘날 존재한다 해도 다중우주를 구성할 수 없다. 하나하나가 안정한 상태의 우주가 될 수 있다. 단, 음수 우주상수를 지닌 우주는 쪼그라든다.
|
|
끈이론이 예측하는 두 번째 다중우주
랜드스케이프 다중우주는 테그마크 교수가 분류한 4단계 분류에서는 2단계 다중우주에 속하는 것이며, 비교적 새로운 다중우주 아이디어다. 최신 끈이론과 관련이 있다.
글 윤신영 / 과학동아 기자
- 일러스트 김인규
'우주 > 우주천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의 탄생과 양자진공 (0) | 2019.12.31 |
---|---|
스티븐 호킹의 우주 (0) | 2019.12.31 |
홀로그램우주 (0) | 2019.09.10 |
빅뱅 규명했지만…우주생성 그 전과 그 밖은 (0) | 2018.01.14 |
초미니 우주선 띄워 '알파 센타우리' 탐사한다" (0) | 2016.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