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미생물이용의 효과
1) 에너지 이용의 효율화와 재이용
오염 요인을 유효 에너지로 변환
2) 농약사용을 줄이고 무농약, 고품질, 다수확
뿌리의 활력, 병해 저항력을 높임
3) 미생물기능을 이용한 부패. 발효 합성
4) 잡초 대책
휴면 종자를 발아, 고사시킨다
http://blog.daum.net/return-to-nature/9348270
15. 미생물별 역할
지표면 또는 토양 입자 간극이나 입자 표면에 생존하는 미생물의 총칭. 세균류, 방선균류, 자낭균류, 담자균류, 효모균류, 조류, 원생동물 등 많은 종류가 있다.
■ 토양 미생물의 종류
1) 미소동물군
(1) 선충
토양 선충은 투명하고 폭이 0.05㎜ 길이가 2㎜ 이하로 작아서 현미경을 사용하지 않고서는 관찰할 수 없다. 이들 선충은 뿌리주변에 서식하는 근권 미생물을 포식하거나 고등식물과 동물에 기생하기도 하여 포도넝쿨의 혹과 콩의 낭종 형성의 원인이 되고 있다.
(2) 원생동물
원생동물이란 하나의 세포핵과 미토콘드리아를 가지고 있는 단세표 동물로 토양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무척추동물이다. 크기는 10㎛에서 100㎛이르며 30,000종 이상이 있다.
원생동물은 세균과 조류를 먹이로 한다. 원생동물은 용해된 무기물이나 유기물을 먹고사는 부생성 혹은 세포막으로 둘러싸 봉하는 방법으로 먹이를 소화하는 식이성 생물이다. 원생동물은 움직이는 방법에 의해 4가지로 분류된다.
편모상 원생동물은 토양 생태계를 지배하고 있는 종으로 크기는 5㎛에서 10㎛에 이르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편모를 가지고 있다. 아메바상 원생동물은 위족(僞足)을 이용하여 움직인다. 섬모상 원생동물은 체외에 섬모를 가지고 있다. 아포상 원생동물은 완전 기생생물로 모기에 의해 옮겨지는 말라리아 원충인 Plasmodium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2) 미소식물군
(1) 토양 조류
조류는 산소를 방출하는 광합성 생물이다. 조류에는 길이가 40m에 이르는 켈프와 같은 해조류로부터 토양에 살고 있는 현미경적 종까지 다양하며, 지구상에 매우 널리 분포하고 있는 식물이다.
조류의 개체수는 토양 1g당 103~109 로 원생돌물보다는 많지만 세균과 같은 원핵생물보다는 적다. 지질시대 동안에 조류는 지구상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만드는 광합성 작용을 통하여 대기를 산소가 풍부한 상태로 만들었다. 조류는 물과 빛이 있는 토양 위층에서 발견되지만, 사암이나 석회암의 표면 껍질 바로 아애에서도 서식하고 있다.
조류는 토양 종류에 따라 다르게 분포한다. 온대지역 토양에서의 개체수는 녹조류가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는 규조류, 황녹조류순이다. 녹조류는 산성토양에 많고 규조류는 중성토양에서 가장 잘 자란다.
온도도 조류 서식상을 조절하는 요인이다.
조류는 광합성작용에 의해 스스로 탄수화물을 합성하므로 질소, 인산, 칼리와 같은 영양원이 조류생육 증가의 원인이 된다.
(2) 토양 사상균
토양사상균은 매우 다양한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상균은 균사라 불리는 가느다란 실로 구성되어있는데 이들 균사는 직경이 3~8㎛이다. 균사는 모여서 균사체를 형성한다.
사상균은 산성, 중성 혹은 알카리성 토양에서 널리 발견된다. 일부는 산성조건을 선호한다. 이와같은 특징에 의해 사상균은 산성 토양을 지배하는 미소식물군이 되고 있다. 사상균은 대부분이 중온성이지만, 생육온도는 6℃에서 50℃사이에 이른다. 산성 산림토양의 유기물을 분해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사상균은 유기물 분해에 있어 일차적으로 작용한다. 사상균은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펙틴, 전분 그리고 리그닌과 같은 복합 분자를 분해한다. 사상균은 많은 양의 미생물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양분저장고라 할 수 있다.
◆ 균근균
토양 사상균의 생태학적 그리고 경제적 중요한 특징의 하나는 사상균과 고등식물 뿌리간에 이로운 공생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균근균은 병원성 사상균이 감염하는 것과 비슷한 과정으로 균사가 식물 뿌리를 침입하면서 형성된다. 자연생태계의 많은 식물은 균근균과 상호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균근은 당을 직접 식물의 뿌리 세포로부터 얻는다. 식물 쪽에서는 5~10%정도의 광합성산물의 손실을 의미하지만, 식물도 균근균으로 부터 중요한 이점을 받는다.
균근균은 일, 유효도가 낮은 양분과 토양용액에 저농도로 존재하는 양분을 식물이 쉽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균근균은 과도한 양의 염과 독성 금속이온의 흡수를 억제해주며, 항생물질 생성 및 뿌리 표피 변환작용을 촉진하여 식물이 병원균과 경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특성의 균근균에는 외생균근균과 내생균근균이있다.
외생균근균은 온대 혹은 반건조 지역의 소나무, 자작나무, 너도밤나무, 참나무, 가문비나무와 전나무와 같은 나무 및 관목과 군집을 이루고 있다. 이들 사상균은 뿌리 분비물에 의해 자극되며, 사상균 막에 의해 숙주 뿌리의 표면이 뒤덮힌다.
내생균근균으로 중요한 것은 vesecular arbuscular mycorrhize(VAM)이라 불리는 종이다. VAM이 형성되면 균사는 피층 뿌리 세포 벽을 뚫고 들어가, 식물 세포안에서 고도로 분화된 나뭇가지 모양의 구조인 수지상체를 형성한다. 이들 구조는 토양 양분을 숙주 식물에 전달하고 식물로부터는 당과 같은 광합성 산물을 받는 역할을 한다. 낭상체라 불리는 구조도 형성되는데 이 구조는 균근균에 있어 저장 조직의 역할을 한다.
(3) 토양 방선균
방선균은 세균과 같은 원핵생물이다. 방선균은 실모양의 균사상태로 자라면서 포자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사상균과 비슷하지만 사상균과 방선균의 차이점은, 사상균은 진핵생물이지만 방선균은 세포핵이 없기 때문에 원핵생물이다
방선균은 토양 전체 미생물 개체군의 10~50%를 구성하고 있다. 대부분의 방선균은 유기물을 분해하며 생육하는 부생성 생물이다. 정원이나 들판의 흙에서 나는 냄새는 방선균이 분비하는 물질인 지오스민 geosmins에 의한 것이다. 방선균은 부숙퇴비에서도 발견되지만 대부분은 토양에 서식하고 있다.
(4) 토양 세균
원핵생물인 세균은 생명체로서 가장 원시적이고 성공적인 형태다. 세균은 거의 지구적으로 분포하며, 환경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세균은 매우 다양한 대사작용을 하고 있다. 세균은 많은 종류의 유기물과 무기물을 분해한다. 세균은 철 및 황과 같은 원소의 순환에도 간여하고 질소를 고정하기도 한다. 한편 세균은 포식자이면서 먹이가 되기도 하며, 병원균이기도 하고 기생자 이기도 하다.
■ 토양 미생물의 기능 및 역할
1) 작물에 유익한 작용
고등식물의 성장에 대하여 직접, 간접으로 좋은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많다. 그 가운데 중요한 것은 유기물의 분해, 무기성분의 변환, 유리질소의 고정작용, 균근의 형성, 유해물질의 제거 등과 같은 작용으로 토양성분이나 물질을 식물에게 유익한 형태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1) 근권활동
식물의 뿌리는 여러 가지 많은 유기물질을 밖으로 분비하거나 근관(根冠) 및 세근(細根)이 탈락되어 새로운 유기물이 되며 이러한 물질은 다른 생물의 먹이가 되어 뿌리 가까이에 강력한 생물학적 활동의 영역 즉 근권(根圈)을 형성한다. 뿌리의 양분흡수를 촉진하거나 뿌리의 신장생장을 촉진하며 뿌리의 효소활성을 높이는 효과를 보인다.
(2) 유기물의 분해
유기물의 분해에서 생기는 유기 및 무기산(질산, 황산, 탄산)은 석회석과 같은 암석이나 인산, 철, 망간과 같은 유효도를 높이게 된다.
(3) 무기물의 변화
토양 중에 암모늄화합물과 질산염이 생기는 것은 단백질과 다른 질소화합물에서 유래된 것이며, 여러 단계의 생화학적인 반응에 의한 것이다.
무기성분의 변화는 토양환경의 변화와 미생물의 활동으로 화학적 형태가 바뀌는 것이다. Fe과 Mn은 배수가 잘 되고 산화적 상태에 있게 되면 자양성 미생물에 의하여 산화되어 약한 산성 내지 중성 가까운 PH에서는 용해도가 매우 낮아 Fe, Mn의 과잉에 의한 독성이 나타나지 않게 된다.
(4) 균근
육지에서 자라는 대부분의 식물뿌리는 사상균 특히 담자균류가 착생하여 공생관계를 맺어 균근(菌根, mycorrhizae)이라는 특수한 형태를 형성한다.
균의 포자가 발아되면 균사는 세근에 침입하여 세근의 안팎 양쪽에서 자라며, 주근(主根)이나 긴 뿌리에는 침입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뿌리밖에 있는 균사는 물과 양분의 흡수에 대하여 뿌리의 연장과 같은 기능을 갖게 된다.
(5) 질소의 고정
유리상태인 분자질소는 대기 중에 풍부하지만 직접 고등식물이 이용할 수 없으며, 암모니아와 같은 화합한 형태가 되어야만 양분이 된다. 이 과정을 분자질소의 고정작용이라 하며 자연계에서의 물질의 순환이나 식물에 대한 질소의 공급 또는 토양비옥도의 향상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현상이다.
유리질소를 고정할 수 있는 생물군은 광범위한 하등식물군이며, 질소의 고정균은 공생적이고 일정한 숙주식물과 함께 살아간다. 숙주식물은 세균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대신 고정된 질소를 이용하게 된다. 숙주식물이 되는 것은 대부분의 두과식물과 비두과식물의 일부로서 그 범위가 매우 넓다.
조류는 대개 수생생태계(水生生態系)에 있어서 비공생적으로 질소를 고정할 수 있는 종류이며, 보통 토양 중에서는 조류에 의한 질소의 고정이 큰 몫을 차지하지는 못한다.
2) 작물에 유해한 작용
고등식물에게 해를 끼치는 토양생물의 활동은 기계적으로 상해를 가하는 경우, 양분에 대하여 경쟁하는 경우, 그리고 병원균을 매개 또는 감염시키는 경우 등이다.
(1) 토양동물의 해
토양동물이 식물에게 해를 끼치는 것은 대부분 기계적인 상해를 입히는 것이다. 두더지, 달팽이, 설치류, 굼벵이 등의 유충은 뿌리 또는 지상부를 침해하며 개미는 진딧물을 옮기거나 보호하고 잔디를 죽이는 경우가 많다.
(2) 병의 발생
토양에서 유래된 병(soil-born disease)이 식물 또는 동물에게 심한 피해를 끼치는 경우가 많이 알려져 있다. 그러한 병원성 생물이 토양에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서식하면서 조건만 알맞으면 병을 일으키게 된다. 토마토나 감자의 위조병, 여러 채소의 연부병, 반점병, 근부병등은 토양에서 유래되는 세균병들이다.
(3) 양분에 대한 경합과 형태의 변화
토양에서 생활하는 미생물과 원생동물류는 고등식물과 몇 가지 공통적인 양분요구성을 가지며, 흡수과정도 비슷하므로 서로 그 양분에 대하여 경합하게 된다. 경쟁이 가장 심한 양분은 질소이며, 특히 C/N비가 높은 유기물이 토양에 들어가면 미생물이 먼저 질소를 이용하게 되므로 식물에게는 부족하게 된다. 질소 이외에도 인산, 칼륨, 칼슘, 미량요소 등에 대하여도 심한 경쟁을 하여 식물의 성장에 지장이 있는 수도 적지 않다.
16. 미부숙(未腐熟)퇴비의 영향
미 부숙 상태로 토양 내에 들어가면 토양 내에서 혐기발효가 되어 유해 가스가 발생합니다. 작물은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오히려 작물이 영양분을 땅에 빼앗기는 삼투압현상이 일어나 비료효율을 기대 할 수 없으며 또한 이 유해 가스는 작물의 호흡과 증산을 방해하여 직접적인 생육저하, 영양부족으로 이어진다.
또 미 부숙된 퇴비는 토양내의 산소고갈을 일으켜 각종세균이 창궐하게 됩니다. 이것은 온갖 질병의 발병 원인으로 작용하여 작물재배가 더욱 어려워 진다. 특히 병해에 약한 고추농사 에서는 그 피해가 훨씬 극심합니다. 청고병이나 지효성 역병은 바로 이런 이유로 발생한다.
또는 가축 분을 퇴비로 오인하고 대량 투여하기도 합니다. 이런 이유로 토양의 떼알구조가 급속히 파괴되고 있고 결국 작황의 불황으로 이어진다다.
17. 경운의 필요성
화학비료와 화학농약사용으로 유용한 토양미생물, 유익곤충의 소멸은 화학비료와 화학농약에 대한 의존도 상승, 토양의 황폐화로 경운의 필요성 증가.
경운을 위한 무거운 농기계증가, 화학비료와 농기계사용으로 20~40cm 아래 경반층형성. 확학비료와 경반층이 작물의 뿌리 내리는 것을 방해. 배수성, 통기성,보습성을 악화시켜 장마, 가뭄피해 증폭. N(질소),P(인산),K(칼륨) 과잉공급, 자연 생태계붕괴로 미네랄 흡수불가 초래, 작물들 허약체질, 병충해시달림 유발
18. 정지전정의 기본생리
○정지(traning): 수관골격을 이루는 가지를 이용한 수형의 완성
○전정(pruning): 결실과 영양 생장 조절
○정지전정의 목적
목표수형 구성및 유지. 광효효율 증대, 작업능률 개선, 수제조절, 결실량 조절
19. 벼농사 우량종자 선별 및 육묘관리
○재배지역과 용도에 맞는 품종을 선택하고, 반드시 종자 고르기를 해 충실한 종자를 준비
○종자는 가능하면 정부 보급종을 사용하도록 한다.
○신품종을 재배할 때는 사전에 농업기술센터나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좋다.
○종자소독은 반드시 약제에 따른 희석비율과 온도, 소독시간을 지켜야 한다.
보급종을 사용할 경우에는 씨앗담그기를 할 때 반드시 정확한 물의 양(종자 10㎏ 당 물 20ℓ)을 지키도록 한다.
○씨앗담그기는 싹이 1∼2㎜가 틀 때까지 매일 물을 갈아준다.
싹이 트는 기간은 품종과 온도에 따라 조금씩 다르므로 반드시 80% 이상 균일하게 발아했는지 확인 후 파종해야 한다.
○온도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평균온도가 15℃ 이상 되면 종자소독과 씨앗담그기를 하면 된다.
파종시기를 너무 앞당기면 저온으로 씨앗담그기 할 때 발아속도가 늦어져 파종 후 육묘가 고르지 못하고
뿌리발달이 저하되는 등 피해를 입는다.
20. 고추의 병해충
○고추 병해의 종류
고추연한얼룩바이러스, 풋마름병, 역병, 잿빛곰팡이병, 탄저병, 흰사루병, 균핵병, 고추세균성 점무늬병
○고추의 충해의 종류
담배나방, 목화진딧물, 복숭아 혹 진딧물, 차머지응애, 파밤나방, 꽃노랑 총재벌레
○역병의 종류와 예방
■ 발생상황
고추 생산의 가장 큰 제한요인이 되는 병해로 해마다 발생하며
생육기간중의 강우량이나 강우빈도에 따라 발병주율이 20~40%에 달하는 무서운 병해
8월 이후 고추밭에서 벌겋게 말라죽는 고추는 거의 역병에 의한 피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해마다 우리 나라 고추 생산의 약 20%가 이병에 의해 피해를 받는다
■ 병원균
Phytophthora capsici로 조균류에 속하는 곰팡이의 일종이다.
병원균은 토양내 수분과 매우 관련이 깊은 수생균의 일종으로 주로 토양속에서 생활하며 고추를 토양내에서
2~8년간 생존이 가능하다.
병원균의 생육온도는 8~35℃이며 최적온도는 28℃ 내외다. 고추 외에 토마토, 피망 및 박과채소를 침해한다
■ 방제방법
1) 경종적 방법
병원균이 토양내 수분을 따라 이동하므로 포장에 수분이 많지 않도록 관리하는 방법이 최선이다.
물이 잘 고이는 저습지, 찰흙토양, 배수가 불량한 곳에서는 발생이 많으므로 이런 곳을 중점 관리해야 한다.
토양내 유기물량이 너무 적거나 산성화 된 곳도 퇴비나 석회를 사용하여 토성을 개량해주는 것도 좋은 방제방법이다.
상습 발생지의 가장 좋은 방제방법은 윤작이다.
2) 저항성 품종 이용
역병에 강한 비교적 강한 품종으로 만강, 킹건, 기라성, 오뚜기, 진품, 추래홍 등이 있으며 중간인 품종은 홍복, 마니
따, 참피온, 명품, 마산홍 등이 있고 병에 잘 걸리는 품종은 화홍건, 조광, 적토마, 한별, 오륜 등 대부분의 품종이 여
기에 속한다.
저항성 품종을 심는 것은 약제방제의 효율을 높이는 좋은 방법이므로 가능하면 조금이라도 덜 걸리는 품종을 심는 것
이 매우 중요하다
3) 약제방제
병해발생 초기나 발병이 우려되는 장마전에 예방적으로 살포하지 않으면 큰 효과를 볼 수 없다.
약제살포는 강우직전에 해주는 것이 가장 급격한 병해전파를 막을 수 있는 방제방법이다.
역병의 약제로는 크게 동(구리)제와 침투이행성인 메타실, 옥사실계, 농약 디메쏘몰프 등으로 구분
장마기에는 침투이행성 약제를 예방적으로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방을 위주로 할 때는 10일 간격으로 해주는 것이 좋으며,
발병후에는 3~4일 간격으로 집중적으로 살포하는 것이 좋다.
병원균의 침투가 매우 빨라 병의 전파가 급속히 이루어지므로 주의하지 않으면 살포적기를 놓치기 쉽다.
21. 식물 5대 호르몬의 특성
1)옥신(AUX) 새로운 조직에서 생산, 광합성물질 운반 주관, 성장촉진, 세포분열
2)지베렐린산(GA) 식물의 모든 부분에서 생산, 세포분열후 세포크기 조절, 생장촉진 호르몬
3)사이토카이닌(CYK) 뿌리의 새 분열조직에서 생산, 세포의 분열과 세포비대, 성장을 촉진, 잎의 노화 방지.
4)에틸렌(Ethylene) 꽃을 피게하고 착색도 시키나 과하면 낙과(낙화)되고 조직을 늙게해서 죽게 한다.
아5)브시스산(ABA) 주로 뿌리에서 만들어져서 잎으로 이동, 씨앗을 수면상태 있게 하고 식물을 노화시킴.
22. 농약의 종류별 포장지
○살충제 : 초록색,
○살균제 : 분홍색,
○생장조정제 : 파랑색,
○제초제 : 노란 또는 적색,
○전착제 : 흰색
23. 토양의 떼알구조를 위한 조치
○ 토양은 홑알구조(단립구조)와 떼알구조(입단구조)로 나눈다
홑알구조는 토양입자들이 서로 결합하지 않고, 개개의 입자로 흩어져 있는 상태로 존재,
떼알구조는 토양알갱이가 서로 뭉쳐서 큰알갱이로 되어 있는 상태
○ 떼알구조는 홑알구조보다 식물이 잘자라 생산성이 높다
떼알구조를 만들려면, 유기물과 석회시비가 필요
(콩은 떼알조직을 생기게 하지만, 옥수수는 홑알구조로 만든다)
24. 유기물 시용효과
식물체를 조성하고 있는 유기물을 분류하면 리그린(lignin), 셀루로스(cellulose), 헤미셀루로스(hemicellulose), 전분, 당류, 단백질 등이다. 유기물을 토양에 시용함으로써 얻는 효과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 양분 공급 효과
유기물의 시용은 토양중 미생물의 증가 또는 활성을 높이므로 유기물의 분해시 만들어지는 분해산물이나 미생물이 분비하는 분비물질이 토양을 입단화하여 공극을 형성하여 가비중, 용수량, 투수성(토양중에서 물의 이동성), 수축성, 강도(경운의 용이성)등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토양 개량적 효과가 크며, 유기물의 시용량이 많을수록 그 효과도 커지는 경향이다.
○ 물리성 개선 효과
유기물을 시용하면 토양중의 미생물이 증가할 뿐 아니라 활성도 높아진다. 우리나라 토양은 산성토양이 많다. 산성토양에서는 알루미늄의 활성이 높아 인산을 고정하여 작물이용을 불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유기물을 시용하면 분해시 만들어지는 유기산이 불용화된 인산을 가용화시켜 인산의 유효도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유기물의 분해에 관여하는 토양 미생물들로 인산의 용해능력을 갖고 있어 토양중 불용화 인산의 1~10%을 가용화시킨다.
또한 작물을 재배하면 작물뿌리에 적응하는 균이 증가할 뿐 아니라 작물 뿌리와 공생관계를 갖는 VA균근균 등도 증가되어 작물의 생육을 돕기도 한다.
연작에 의하여 병 발생이 많은 곳에 유기물을 시용하면 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먹이를 공급한 효과로 인하여 병의 발생은 많아진다. 이러한 곳에서는 윤작 또는 혼작을 하여 유기물 시용량은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도 중요하다.
○생물성 개선 효과
유기물 시용은 토양내에서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됨으로 유기물을 조성하고있는 각종 양분들이 가용화되어 작물에 흡수 이용된다.
유기물의 탄질비가 높은 경우는 미생물의 에너지원인 탄소는 풍부하나 영양원인 질소는 부족하여 토양중의 질소 또 대기중의 질소를 고정하여 이용한다. 따라서 미생물과 작물 사이에 질소 쟁탈전이 일어나게 되므로 작물은 일시적으로 질소 기아현상을 유발한다.
또한 탄질율이 낮은 유기물은 질소가 풍부하므로 미생물이 이용하고 나머지는 곧 암모니아로 되어 작물에 일부 흡수되어지거나 탈진, 용탈에 의하여 소실되어 진다. 이 두 작용이 탄질율의 경계 약 20이다. 따라서
유기물을 시용하여 작물 생산성을 안정적,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유기물을 시용할 때는 유기물은 퇴비화하여 시용유기물의 탄질율은 20전후로 하여 시용되어져야 한다.
25. 정부우세성, 접목묘
○정부우세성(頂部優勢性 apical dominance)
하나의 가지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눈에서 발생한 가지가 세력이 제일 강하게 자라고 아래 눈으로 내려올수록 가지세력이 점차 약해지거나 숨은 눈으로 되는 현상을 정부우세성(頂部優勢性)이라 한다.
접목묘는 수명이 짧은 대신 수확이 빠르고 생산량이 많다
- 정단의 눈이 빨리 발아, 생장 -> 아래쪽의 신초와 생육차가 크게 나타나고
- 정부의 신초에서 만들어진 옥신이 아랫쪽으로 내려오면서 눈의 발아나 생장을 억제하는 것
- 뿌리에서 만들어진 사이토카이닌이 정부의 신초쪽으로 상승되어 아래쪽의 눈에 부족하게 되는 것
■발아, 생장에 필요한 요소
- 저장양분
- 사이토카이닌(Cytokinin, 뿌리에서 생성)
- 지베렐린(Gibberellin, 뿌리 및 신초에서 생성)
-> 발아촉진
■눈이 발아
-> 신초(shoot 새로나온 가지)가 신장됨
-> 선단(growing tip or apical bud)에서 옥신(Auxin) 호르몬 생성
- -> 유관속을 굵게함
- 사이토카이닌(Cytokinin)이 있을때 옥신은 세포분화(cell division)을 촉진시킨다.
cytokinin 과 auxin 의 농도가 같을 때 물관부 조직(xylem tissue)이 만들어 진다. - -> 양수분과 호르몬의 상승을 좋게함
- -> 생육이 좋아짐
- -> 생육의 차이 발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