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빛의 장막을 걷어내면, 비로소 심우주의 모습이 드러난다.
  • 與一利不若除一害, 生一事不若滅一事
전원생활/농업대학

강의요약1

by 靑野(청야) 2017. 9. 8.


귀농귀촌1.docx


1. 토양3상(, three phases of soil)


○고상(유기물입자) : 토양광물,암석과 유기물인 고체상태의 입자. 그 사이의 공극으로 이루어져 있다.

○액상(토양수): 공극에 녹아있는 여러 가지 용질(토양수)

○기상(토양공기):공극에 채워져 있는 수증기와 이산화탄소 및 그 밖의 대기 구성분


2. 토성의 이해


○토양의 성질

   토양은 만들어질 때의 기후나 장소 및 원래의 암석에 따라 그 성질이 다르게 나타나며,

   토양의 성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후이다.


   ▶물리성

      토양의 물리성은 통기성, 투수성,유효수분의  보수력등 크기에 따라

      자갈, 모래, 가는 모래, 매우 가는 모래, 점토등으로 분리


   ▶토양삼상(土相)

      토양은 무기물과  유기물로  된 흙의 입자 사이의 공간. 이 공간은 수분과 공기로 채워져있다.

      식물을 키우는데 가장 중요한 공간이다. 식물의 특성에 따라 이공간이 넓어야 하는 것도 있고 좁아되 되는 것이 있다.

      큰공간이 생기면 통기와 배수에 이용되고, 작은 입자에 생긴 작은 공간은 수분 유지와 상토의 물리성을 좋게 해준다.

 

   ▶전기전도도

     -토양 속에 있는 각 이온의 총량

     -토양의 염류농도 판정에 사용. 우리나라의 토양은 질산태질소의 용량이 높아 시비의 표준으로 삼고 있다.

      다른나라의 토질보다 질소성분이 우수 하다고 할 수가 있다.

 

보통 허브들의 토양속의 질소성분 수치는 0.5~1.0 mmho/cm가 적당하다. 좀 쉽게 설명하면  우리가 화학비료를 시비

   할때  보통 질소가 6인경우 여기에 물을 1천배 희석 하면 0.006 이 된다.  허브의 질소수치가 위의 숫자보다 높게 되면

   지나치게 많은 것이 된다. 흙속에 있는 질소성분과 액비에서 주는 질소성분의 양으로 식물이 충분히 건강하게 살아 갈

   수가 있다.

 

   ▶PH

      PH는 물의 전리 항수를 기촐 용액의 수소이온 농도를 간편하게 표시한 값이다.

     용액의 PH가 7일때는 중성으로 보고  이보다 숫자가 작으면 산성  크면 알카리성으로 표시한다.

     토양에 가장 잘 흡착력이 좋은 것은  수소, 칼슘, 마그네슘, 칼륨,암모늄, 나트륨 순으로 흡착력이 좋다. 

○ 토양의 구성

성숙된 토양은 몇 개의 층으로 구분된다. 

   ▶ 표토 식물이 자라는 맨 위층을 표토라고 하며, 생물의 유해나 부식물로 된 부식토가 포함.
   ▶심토 : 표토에서 분해된 물질이 지하수에 섞여 흐르다가 쌓인 층을 심토라고 한다.
   ▶ 모질물 : 기반암이 풍화되어 만들어진 자갈과 모래로 된 층을 모질물이라고 한다.
   ▶ 기반암 : 풍화되지 않은 암석으로 이루어진 맨 아래층을 기반암이라고 한다.

○ 성숙한 토양의 생성 순서와 구조

    성숙한 토양의 생성 순서 : 기반암→모질물→표토층→심토층
    성숙한 토양의 구조 : 기반암→모질물→심토→표토

토양 본문 이미지 1


3. 토양미생물[soil microbes, 土壤微生物 ]

토양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총칭.

세균.·방선균(放線菌)·사상균(絲狀菌)·효모.조류(藻類)·원생동물(原生動物) 등을 말한다 .


○세균

   세균은 일반세균군과 특수세균군으로 나누어진다.

   ▶일반세균군에는 유포자세균과 무포자세균류가 있고,

   ▶특수세균군은  특수세균군은 특수한 생리작용, 그 종류는

     ♤유리질소고정세균:  공기 속의 유리질소를 고정하여 화합태(化合態) 질소로 만드는 세균,

     ♤질화세균: 토양 속의 암모니아태 질소를 질산태 질소로 변화시키는 세균,

     ♤탈질세균: 질산에서 질소가스 또는 산화질소를 생기게 하는 세균,

     ♤황(黃)세균: 황 또는 그 화합물을 산화시키는 세균

     ♤철세균:철화합물을 불용성으로 하는 세균, .
     ♤섬유소분해균:섬유소(셀룰로스)를 분해하는 세균균 등


○방선균: 토양 속에서 유기물의 분해작용에 관여

○사상균: 토양 속에 많이 생존하는데 산성인 토양 속에서는 생육이 우세하며,

             특히 미분해 유기물이 많은 토양 속에서는 그 분해에 큰 역할을 한다.

○효모:일반적으로 토양 속에 적지만 포도밭 등 과수원의 토양 등에는 많이 생존한다.
○조류(藻類): 토양 속에 생존하는  5속 148종 이상이 기록되어 있으나 보통 산성토양에는 매우 적다.
○원생동물(原生動物): 다수(농경지에서 토양 1g 중 수천~수만) 서식하고 세균류를 먹는다.

4. 비료의 3요소 및 역할 및 시비법(표층, 심층, 엽면, 전층시비)

○비료의 3요소 및 역할

   ▶질소

      조직세포를 만드는 성분으로 잎의 당분을 만드는 성분과 함께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이나  엽록소로 환원.

      세포는 단백질이 주성분이기 때문에 질소가 없으면 성장을 하지 못한다. 질소가 부족하면 잎이 황색으로 변하며

      성장이 약해진다

   ▶인산

      식물에 있어 인산의 생리적 역할은 에너지 대사나 탄소동화작용으로 인해 생기는 산물의 전류등에 중요한 역할

      -식물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는 탄소동화산물의 흡수에 의해 생기며, 인산의 화합물인 APT에 의해 저장되어

       전달되는 것

      - 단백질 등의 유기물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 인산이 부족하면 번식이 나쁘고 지상부나 뿌리가 약하게 되며 잎이 적어진다.

      - 인산이 부족하면 광택이나 색깔이 불량해 진다.

​​    칼륨

       칼륨은 탄소동화작용에 관계하고 태양광선의 물리적 에너지를 화학적 에너지로 바꾸어 식물에 도움을 준다.

    기타성분과 부성분


       ​-석회(CaO),마그네슘(MgO),망간(Mn),붕소(B),규산(SiO₂)

       -주성분 이외의 성분으로 염화칼리의 경우 염소는 토양성질을 산성으로 변화시켜 작물의 생육에 영향.

시비법

​​​   시비량 결정

    -작물의 종류와 품종,토양비옥도,기후조건,재배양식 등에 따라 다르며 천연공급(물)량에 따라 시비량을 달리함
    -이론적 시비량 산출은 작물의 목표수량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비료의 흡수량,천연공급량,비료성분 흡수율에 따라 결정


      ※ 시비량=양분흡수량(Kg)-천연공급량(Kg)/비료성분 흡수율(%) x100/비료의 성분함량(%)

   ▶시비시기

​     -비료종류
    -비료 주는 횟수와 시기

​    시비위치

     -표층시비:경지를 고르지 않고 전면에 비료를 살포하는 방법이다.
     -전층시비:비료살포 후 토양을 경운하여 비료가 토양에 골고루 섞이게 하는 방법이다.
     -심층시비:비료의 손실을 막기위해 토앵 깊이 비료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측조시비:작물의 포기나 줄기 옆에 사용하는 방법이다.
     -주입시비:주입기를 이용하여 액상비료를 작물에 주입하는 방법으로 시설재배에서 효과적인 방법임

​   시비방법

     -전면시비:경운하기 전 토양 전면에 사용하는 시비법으로 작업은 쉽지만 비료유실우려가 있다.
     -파구시비:파종할 골에 비료를 주고 흙으로 덮어주는 방법으로 비료유실을 막을 수 있다
     -​엽면시비​:작물 뿌리가 정상적인 흡수를 못할 때,병충해나 침수피해를 입었을때,

       시설하우스에서 뿌리를 통해 비료공급이 어려울 때 등 응급을 요할시에 적합(요소,미량요소 엽면시비)

    ※요소엽면시비:작물과 계절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0.1~0.3%

5 pH의 영향, 비료흡수


   pH 7.0의 중성토양 비료흡수율을 100으로 볼 때

   pH 5.0의 산성토양은 질소흡수율 43, 인산 흡수율 34, 칼리 흡수율이 52로 낮아진다.

   ※ 이는 pH 5.0의 농경지에 비료 10포대를 사용해야 한다면 pH 7.0 농지에는 절반인 5포대 이하를 사용해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이다.

   토양 산성화는 그동안 일반적으로 화학비료 사용이 원인으로, 산성화되면 황폐해지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잘못된 생각

   이라는 것. 우리나라 토양 대부분이 화강암 성분으로 토지 산도가 높은 것으로 화학비료 사용이 실제 토양산성화에 미

   치는 영향은 아주 적다는 것이다. 특히 산성화된 토양은 석회를 사용해 비교적 쉽게 교정할 수 있다.. 


6 가축분 퇴비의 비료량


    ○퇴비는 질소와 칼리의 함량이 비슷하고 인산함량이 높다. 인산을 기준으로 시비하면 질소와 칼리가 부족하고

       질소를 기준으로 시비하면 인산이 부족해 양분 불균형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퇴비는 원료가 다양할 수록 토양미생물에 좋은 영향, 퇴비료는 계분,돈분,우분등 수분람량이 높아,

       야적시 침출수와 악취유발. 왕겨, 버섯등과 혼합하여 발효시킴


7 염류집적 해소방안


○노지에 비해 비료 사용량을 줄이되, 연작 연수가 많을수록 비료 양을 더 줄이고 토양 정밀검정을 통해

   적절한 시비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휴한기에는 피복물을 벗겨 비를 충분히 맞히면서 포장에 물을 대주면

   염류집적을 다소 해소. 칼슘, 마그네슘, 질산, 염소 등의 농도도 크게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슴.


○염류해소는 제1인산칼륨이나 황산마그네슘을 물 1톤당 250~300g을 희석해서 관주한다.

   여러번 나누어서... 특히 호미손과 병행하여 사용하면 그효과는 더욱 좋다


○겉흙제거와 객토, 퇴비 등 유기물을 충분히 살포하는 방법, 사료용 옥수수나 수수 등 제염작물을 재배하는 방법 등


8. 광합성 이해

 

광합성이란, 녹색식물이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보터 포도당을 만드는 과정으로

엽록체에서 광합성이 일어난다.

 

6CO2 + 12H20 ------> C6H12O6 + 6O2 + 6H2O

 

광합성률에 미치는 요인는


○빛의 세기 : 20000LUX 까지 증가할때 광합성률이 최고에 오른다 

○온도 변화 : 빛이 강할때, 온도가 10도씩 증가할때마다 광합성률이 2배씩 증가한다. 

○빛의 파장 : 450nm(청), 680nm(적) 파장대에서 광합성률이 가장 높음


9. 병해충 관리용 유기농자재

○식물추출물(혼합제 포함)은 13개 제품으로 황련추출물, 울름추출물, 정향추출물등.
○충해관리용 자재는 대략 126개제품이 등록, 그중 식물추출물이 49종. 님추출물과 천적추출물이 19개 제품
○해충방지제를 위해, 파라핀유, 데리스추출물, 식물성오일, 미생물추출물등을 혼합해서 해충방지제로 사용.
○님추출물은 단일제형, 혼합혀이 비슷하게 등록, 혼합형은 주로 목초액, 식물성오일등으로 이루어짐
○병충해 괸리용자재는 183개제품미 등록, 그중 식물추출물은 62개제품, 미생물 제제 30개 제품, 
   천적이 19개 제품등록.
○식물추출물은 62개 제품에, 마늘추출물, 목초액, 파라핀유,
○병충해관리용 자재는 규산나트륨등 14개등록
○ph교정용 황토 유황합제, 난황유 플러스, 청국장, 키토산, 목초액

10. 작물의 온도환경


○작물과 온도

    어느 한계까지 대사작용 촉진, 성장가속. 그 한계벗어나면 생리대사 급격한 변화.

    12~20도C부근에서 양분흡수

    12도C이하, 30도C이상에서 정상적인 성장 장애

○온도와 광합성

    작물의 광합성은 온도 영향이 크다. 작물에 따라 차이가 크다.

    저온에서도 광합성이 이루어지나 온도가 높아지면 급격이 증가,

    일정온도를 넘어서면   광합성량이 줄어든다(토마토20도C, 오이25도C, 피망20~25도C)

온도와 영양 장애

    낮 동안 작물의 잎에서 생성된 동화산물은 작물의 각 부위로 빠른 속도로 전류 된다.

    반적으로 잎에서는 전분의 형태로 존재하다가 당으로 바뀌어 체관을 통해 줄기, 뿌리, 과일 등에 전류 된다.

    시설재배처럼 온도관리가 가능하면 주간에는 25℃ 전후로 조절하여 광합성기능을 최대로 하고 해가 진후

       4∼5시간은 동화산물의 전류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오이는 12∼16℃, 토마토는 12∼13℃의 비교적 고온으로

       유지하다가 그 후 부터는 오이 10℃, 토마토 5∼6℃로 조절하여 관리하면 호흡에 의한 동화산물의 소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야간의 고온은 광합성 산물의 전류가 빨라져 과실 비대는 빨라지지만 다른 부위로의 분배가 적고, 뿌리가

        약해지고, 양수분의 흡수저해를 초래하며, 다음날 광합성작용도 활발하지 않게 되어 과실의 생육장애

     야간에 저온에 두면 생육이 현저하게 저해된다. . 
     야간온도가 저온이 되면 광합성산물의 전류가 적어 엽에 남게 된다

     광합성산물의 이동은 잎의 중심부로부터 우선 이동하고, 다음에 주변부에 미친다.

        따라서 황색반점은 주변부에서 먼저 볼 수 있다. 한 그루의 식물체 내에서는 하엽의 광합성산물이 먼저 전류되고

        다음에 착과절간 바로 위 엽에서 전류 되며, 착과절에서 멀리 있는 상부엽에서 계속 이동된다.

        따라서 저온이 되면 상부엽 내에 광합성산물이 축적하여 잎이 경화된다.


○온도 적응성과 생육적온  

  표 1 온도 적응성에 의한 분류

구 분

작 물

저온성채소

추위에 강한것

시금치, 파, 배추, 양배추, 순무, 무, 완두, 딸기

추위에 약한것

쑥갓, 미나리, 상추, 근대, 셀러리, 꽃양배추, 쪽파, 당근, 감자

고온성채소

더위에 강한것

부추, 죽순, 차조기, 생강, 토란, 고구마, 가지, 고추, 오크라, 동아, 박, 동부, 풋대콩

더위에 약한것

아스파라거스, 우엉, 단옥수수, 토마토, 오이, 참외, 호박, 수박, 강낭 콩, 라이마콩, 머위

  품질과 생육적온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재배지의 기상조건에 따라 작형이 달라져야한다.   
  작물이 재배적온을 벗어나 생육에 부적합한 온도에 놓이게 되면 저온이나 고온으로 인한 장애를 받게 되는데

  생육 한계온도에서 계속 재배되면 심한 생육억제가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주간 생육적온이 높은 작물이 야간 생육적온과 최저 한계온도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표 2와 3은 작물의 생육적온을 나타낸 것이다. 

표 2 작물의 생육적온과 한계온도 

구 분

최저한계온도

생육적온

최고한계온도

가지과

토마토

5

20∼25

35

가지

10

23∼28

35

고추

12

25∼30

35

박과

오이

8

23∼28

35

수박

10

23∼28

35

온실멜론

12

25∼30

35

참외

8

20∼25

35

호박

8

20∼25

35

엽근채류

시금치

8

12∼20

25

8

12∼20

25

배추

5


23

샐러리

5

12∼20

23

쑥갓

8

12∼20

25

결구상추

8

12∼20

25

장미과

딸기

3

18∼23

30

 표 3. 시설재배 작물의 생육적온

구 분

작물명

낮 기온

밤 기온

지온

고온성작물

메론

25∼30℃

18∼22℃

20∼25℃

수박

25∼30

12∼18

18∼20

가지

25∼30

12∼18

12∼20

피망

25∼30

18∼20

20∼22

여름오이

24∼28

12∼17

18∼20

호박

20∼25

10∼12

12∼18

포도

25∼30

12∼18

17∼20

중온성작물

토마토

23∼28

8∼12

13∼18

봄오이

23∼28

12∼12

12∼20

국화

20∼25

8∼12

12∼20

장미

23∼28

8∼12

12∼20

저온성작물

딸기

18∼25

5∼10

12∼12

상추

12∼25

5∼10

10∼12

샐러리

12∼25

8∼10

10∼12

프리지아

12∼25

5∼10

10∼12

카네이숀

18∼25

8∼12

12∼18

씨클라멘

12∼20

5∼8

10∼12

11. 광과 작물의 생육관계                   

태양광선과 식물의 관계

        식물은 태양광선에 의하여 광합성 작용을 하여 대사물질을 생성하여 살아간다.

        광선의 량에 따라서 작물 생육이 달라지며 광선의 양이 줄어들면 식물은 광합성 량이 줄어들고

           어느 시점에서는 광합성량과 광합성을 하기 위하여 쓰이는 에너지 량이 같아지는데

           이 시점을 광 보상점 이라 한다.

 ○강광선 작물과 약광선 작물의 차이

          본질은 광질, 광량, 일장이며 광 환경은 피복물과 온실의 방향등에 따라 달라진다. (실고려사항

         양광선을 전자파로서 장파장은 에너지가 극히 적은 반면 단파장은 에너지가 높다.

 ○광질과 작물생육과의 관계

          지구상에 복사되는 태양광선은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으로 분류된다.

          각 파장별 광선은 작물 생육반응은 다양하게 나타나는 데 작물생육에 가장 영향을 크게 키치는

          파장610 ~ 700nm 의 적색광으로 광합성 작용과 일장효과를 촉진시킨다.

          파장700~ 800nm의 근적색광은 적색광의 효과를 소멸시키는 작용을 하며

          파장800nm의 광선은 열효과 이외는 다른 작용을 하지 않는다

          파장별로 식물과의 관계를 보면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 1,000nm 이상 : 식물에 특별한 작용을 하지 않지만 식물에 흡수되면 거의 열로 변한다

              - 700 ~ 1,000 식물을 신장시킨다

              - 610 ~ 700 광합성에 가장 유효하며 광주기성에고 유효하다

              - 510 ~610 광합성에 크게 작용하지도 않고 형성작용도 떨어진다.

              - 400 ~ 510 광합성에 있어서 610 ~700nm대의 광 다음으로 유효하며 광주기성에도 유효하다.

              - 315 ~ 400 형성작용을 하며 초장을 짧게하며 엽육을 두껍게 만든다.

              - 315 이라 식물에 유해하다

            광합성에 있어서는 610 ~ 700nm의 적색광과 400 ~ 510의 청색광은 약광하에서는 효과가 높지만

            광포화점이 낮아  적색광, 청색광 단독으로는 다른 광선에 비래 효과가 떨어지지만 두 광선이 혼합하면

                상승효과가  크게 나타나서 매우 유효하므로 인공 광선을 이용할 때는 이점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저온기 온실재배 작물을 심을 때는 광량이 적어도 잘자랄수 있는 작물을 선택하여 재배하고 피복자재 및

                시설에 따른 차광을 최대한 줄일수 있는 재배법을 강구 해야한다

               -태양광선이 강한 여름철에는 차광등을 통하여 적절한 광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작물 생육에 중요함.

12.토양수분의 역활 

 토양의 역활은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다.

○기계적으로 식물을 지탱한다.

수분및 양분을 저장 및 공급한다.

미생물의 생육과 유기물을 분해하는 장소가 된다.  (수경제배는 제외)

지력: 토양의 모든 성질(이학적, 화학적, 생물학적)은 작물의 생육과 깊은 관계가 있으므로이 모든 성질 종합하여

          지력이라 한다.(땅심, 땅힘?) 이중에서도 특히 물리, 화학적인 지력조건을 토양의 비옥도라 하기도 한다. 

○토양의 구성

      흙과 동식물 및 미생물의 유체와 같은 고형물,  이 고형물 사이를 채우고 있는 공기와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토양은 고상, 기상, 액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토양의 3상이라 한다.

      토양3상의 비율은 토양의 종류와 기상조건(강수, 기온)등에 따라 변하며 특히 기상과 액상의 변화는  

         기상조건에 따라 크게 변한다.  또한 경운을 한다거나 작물을 재배하는 경우도 비율이 크게 달라진다.

      토양3상의 구성은 작물의 뿌리신장, 수분 및 무기성분의 흡수, 산소공급등 작물의 생장, 생식생리에

         직간접적으로 중요

      모래가 많은 사질계토양은 통기성이좋으나 보수력과 보비력이 낮아 작물의 생장에 불리, 호기성세균의 번식에

         의하여 병해가 심한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물을 공급하지 않으면 수분부족으로 시들어 죽게된다.

      점토(진흙)성분이 많은 식질계토양은 보수력과 보비력은 높으나 통기성이 불량하여 뿌리가 숨을 쉴 수 없으므

         로 뿌리활력이 저하되고 작물생육이 저하된다.

       작물생육에 적합한 토양의 3상 구성은 고상비율 50%(유기물5%),  액상비율 25%,  기상비율 25%

          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작물에 따라 편차가 있다.

○토양수분의 종류

      토양속에 있는 물은 몇가지 형태로 보전되며 그 성질과 작물의 이용도도 다르다.

       결합수:토양의 고체에 결합되어 있는 물로써 식물은 이용할 수 없으나 결합된 화합물의 성질에 영향을 준다.

        흡습수:토양에 강력하게 부착된 물로 작물이 흡수하려는 힘보다 세게 부착되어 식물이 이용할 수 없다.

        모관수:토양의 작은 공극(틈, 모세관)에 존재하는 수분으로 표면장력에 의하여 흡수 유지되며

           식물이 삼투압등을  활용하여 흡수하여 이용 할 수 있는 유효수분이다. 

        중력수:토양의 틈새(공극)을 채우고 있는 물, 토양에 흡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중력에 의하여 밑으로 흐른다.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모관수의 공급원이다.)

○토양수분의 표시

      최대용수량 : 토양의 모든 공극에 물이 꽉찬 상태의 수분량이다 (비가 많이 와 밭에 물이 고인 상태).

      포장용수량 : 최대용수량에서 중력수가 완전히 빠진 상태다.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수분범위의 최대수분량

           작물  재배상 매우 중요하다. (비 온 후 2-3일 정도 소요, 중력수가 빠진 부분을 공기가  채운다)

        위조점 : 모관수의 장력이 커서 식물이 흡수하지 못하고 시들어 버리는 점이다.

        토양수분장력 (pF: potential force) : 수분이 토양에 의하여 얼마나 강력한 힘으로 흡착되어 있는가를

           표시하기 위하여  모세관의 물 높이의 절대값으로 표시한 것이다.

○유효수분과 무효수분

       토양에는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유효수분과 이용할 수 없는 무효수분이 있다.

          그 기준은 수분이 토양에 흡착된 힘의 세기와 식물이 수분을 흡수하려는 힘의 우열을 나타내며

          이를 표시하는 기준은 토양수분장력pF이다.

       유효수분은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포장용수량에서 부터 영구위조점까지이며 약 pF 1.7-4.2까지이다.

       일반적으로 작물재배에 가장 알맞는 최적함수량은 최대용수량의 60-80%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유효수분은 토양입자가 작을수록 많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토양수분의 이동

       토양중의 수분은 조건에 따라 이동한다.

       유리수의 중력에 의한 투과 : 중력수는 장력에 의하여 붙잡혀 있지 아니하므로 유리되어 지하로 투과된다.

      토양수분의 모세관 이동 : 장력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한다.

           즉 흡착된 물 두께가 두꺼운 곳에서 얇은 곳으로 이동되어 평균을 이룬다.

           (표면이 마르면 흘러내려간 중력수 또는 지하수가 모세관을 타고 상승한다.)

        수증기의 확산이동 : 증발된 수분은 기체이므로 토양의 틈새로 이동한다.

         표면은 수분이 증발된다. 수분의 증발을 막으려면 멀칭을 하거나 표면을 긁어주어(김매기)

            연결된 모세관을 끊어주어야 한다. 

토양의 보수력

        토양의 여러 성질에 따라 보수력은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토양은 보수력이 높은 것이 작물재배에 좋은 것으로 알러져 있다 

           그러므로 유기물을 다량 사용하는 등 보수력을 높이는 것이 좋다.

○관수시기

       관수의 시기, 횟수 및 수량은 토양의 보수력, 근군의 분포, 증발산량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

       관수시기는 보통 유효수분의 50-80%가 소모되었을 때 pF 2.0-2.5 일 때이다.   


13. 작물이 시드는 이유

 왜 식물의 여름 탐, 고온 장해는 발생하는 것일까. 그것은 제일이 산소 부족이다.

   이 산소 부족은 왜 일어나는 것인가?. 지표면을 데우면 수분은 증발한다.

   따뜻한 공기는 상승해, 지표면의 수분은 부족해지는 것이다.

난기와 함께 산소도 빼앗긴다. 온도가 10℃높아지면, 호흡량은 2배가 된다.

   거기에 산소가 없다. 산소는 줄어 들 뿐이다. 산소가 적은데 호흡량이

   2배나 되니까 견딜 수 없다. 대사를 할 수 없게 된다. 호흡 곤란해진다.

   질식해 시드는 것이다. 이는 식물이 여름 탐을 하는 메카니즘이다




귀농귀촌1.docx
0.13MB

'전원생활 > 농업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농귀논예상문제  (0) 2017.10.24
강의요약2  (0) 2017.09.10
토양1_1  (0) 2017.03.30

댓글